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애기앉은부채'
유난히도 매마르고 더웠던 여름날을 짧게 건널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다. 이 모습을 보고자 수 차례 다녀왔다. 매번 떨어지지 않은 발걸음으로 다시 다음을 기약하며 아쉬움을 달랬었다. 기회가 되면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놓치 않는다.


숲 속 그늘진 곳에 다소곳한 모습으로 땅 가까이 앉았다. 부처님 광배 모양의 포로 둘러쌓여 가부좌를 튼듯 신비로운 모습이다. 배경이 되는 포의 색이 은은하게 번져나와 전체적인 이미지에 영향을 주고 있다.


겨울과 봄 사이에 피는 앉은부채와 닮았다. 앉은부채란 가부좌를 튼 부처님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애기라는 뜻은 작고 앙증맞다는 의미로 붙여졌을 것이라 추측해 본다. 앉은부채는 이른 봄에 꽃이 피는 반면 애기앉은부채는 여름이 되어야 비로소 꽃을 피운다.


한곳에서 이렇게 다양한 색과 피고 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올 여름 큰 행운이었다. 앙증맞도록 이쁜 모습이 '미초美草'라는 꽃말과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랑물봉선'
꽃 피었다고 소식을 전하는 이들의 사진 속에서 만났다. 내가 사는 근처에 흔하게 보이는 물봉선과는 분명 다른 멋이 있어 언젠가는 꼭 보고 싶었던 꽃이다. 몇 년 간의 경험으로 보아 한번 보고자 하는 꽃은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꼭 볼 기회가 생긴다.


물가에 피는 봉선화라고 해서 물봉선이다. 보통의 물봉선이 연붉은 색으로 핀다면 노랑색으로 피어서 노랑물봉선으로 부른다. 흰색으로 피면 흰물봉선으로 부른다.


물봉선과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색이 다른 것이지만 그것 외에도 말린 꼬리가 아니라 구부러진 모습이다. 노랑물봉선 무리 속에는 닫힌꽃도 흔하게 보인다.


무주의 적성산에서 처음 본 이후로는 매년 지리산에서 만나고 있다. 봉선화와 같이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흰진범'
가을로 내달리는 숲에는 늦지 않게 주어진 사명을 다하기 위한 몸부림으로 분주하다. 여전히 꽃은 피고 지며 맺은 열매는 영글어 가고 이미 떨어진 낙엽도 있다. 그 숲에서 특이한 모양을 한 꽃이 발걸음을 붙잡는다.


가지 끝에 옹기종기 모여 서성이듯 오리를 닮은 것처럼 특이하다. 연한 황백색으로 꽃이 핀다지만 다 핀 것인지 피는 중인지 참으로 독특한 모습이다.


모양은 진범을 닮았으나 꽃 색깔이 흰색이라서 흰진범 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모양 만큼이나 독특한 이름이다.


덕유산, 지리산, 백운산 등 비교적 높은 산에서 만났다. 긴 투구를 연상하게 만드는 모습에서 비롯되었는지 '용사의 모자'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돌콩'
빛나는 보석이 풀 속에 숨어 있다. 그렇다고 아주 숨지는 않았다. 빛나는 것을 가졌으니 보여야 하는 것이지만 내놓고 자랑하면 부정이라도 탈까봐 은근히 드러내고 있다. 색감도 눈에 띄지만 그것보다는 아주 작은 것이 모양도 앙증맞게 귀염을 떨고 있다.


콩이기에 어김없이 콩꽃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았다. 보랏빛 기운이 감도는 분홍빛으로 핀다. 나비 닮은 생김새로 뭉쳐서 피어난다. 꽃의 크기가 콩보다 작으니 유심히 봐야 겨우 볼 수 있다.


이 돌콩은 우리가 흔하게 보는 콩의 모태로 보기도 한단다. 꽃의 크기와 모양, 색 모두가 콩꽃과 거의 흡사하다. 씨앗은 콩과 마찬가지로 쓸 수 있으며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고 한다.


조그마한 것이 제 모양과 빛을 수줍은듯 하지만 당당하게 드러내고 있다. '자신감'이라는 꽃말이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리연꽃'
이른 아침 해뜨는 시간에 맞추어 찾아갔다. 이슬을 털며 해와 마주보는 곳에 자리를 잡고 꽃문이 열리길 기다린다. 빛일까? 온도일까? 드디어 하나 둘씩 깨어나는 생명의 순간을 맞이하는 경이로움을 무엇이라 표현할 말을 잃고 넋놓고 바라볼 뿐이다.


꽃마다 색감이 주는 독특함이 있다. 주변에서 노랑색으로 피는 노랑어리연꽃은 쉽게 볼 수 있지만 흰색으로 피는 어리연꽃을 찾아간 이유다. 수줍은듯 곱디오운 미소로 아침햇살에 빛나는 순백의 아름다움이 그것이다.


꽃은 흰색 바탕에 꽃잎 주변으로 가는 섬모들이 촘촘히 나 있고, 중심부는 노랑색이다. 일찍 피어 일찍 지는 꽃이라 늦은 오후엔 볼 수 없다. 연꽃의 이름을 달았지만 꽃모양도 크기도 확연히 다르다. 크기가 1.5㎝ 밖에 안 되는 작은 꽃이다.


아침 고요의 시간에 햇살과 함께 깨어나는 모습은 마음 속에 그대로 각인되었다. 다시 그 시간에 찾아가 황홀한 순간을 맞이할 것이다. '물의 요정'이라는 꽃말 그대로의 모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