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와 메모광
정민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와 메모는 일상이자 삶이었다

책은 다양한 의미에서 여전히 유효하고 강력한 도구이다수 천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책의 지위는 아주 막강한 힘을 가져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조금씩 위상이 변하고는 있다지만 여전히 책이 가지는 가치와 의의는 엄중하다역사 속에서 책을 사랑했던 옛사람들의 흔적을 찾아보는 것도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여기에 더하여 책을 좋아하는 것과 뗄 수 없는 것이 메모라 할 수 있을 것이다무엇인가를 간략하게 쓴다는 메모는 생활문화가 바뀌면서 메모를 한다는 것이 낯선 모습으로 변해간다급하면 목소리를 녹음한다거나 휴대폰 카메라로 사진을 찍거나 조금 더 여유 있으면 휴대폰 메모장의 기능을 활용한다손으로 무엇을 기록한다는 것이 이렇듯 점점 낯설어지고 있다.

 

정민 교수의 '책벌레와 메모광'은 책을 유난히 사랑했던 사람들과 그 책 속에 남겨진 흔적들을 찾아 이야기를 엮은 책이다옛사람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옛 책의 흔적을 통해 그들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들을 만난다책과 메모의 상관관계를 찾아보는 흥미로움이 있다. "책을 향한 사랑기록에 대한 열정이라는 주제로 삶에서 책을 빼면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고 종이가 없으면 감잎에라도 스쳐가는 생각을 붙잡아둔 책에 미치고 메모에 사로잡힌 옛사람들 이야기인 셈이다.

 

정민 교수가 첫 번째로 주목한 것은 책과 관련되어 흥미로운 관심거리 중 하나인 장서인이다책에 찍한 책도장이 중국와 조선 그리고 일본에서 각기 다른 의미를 가졌다장서인을 대하는 태도가 조선은 소유의 개념으로 책이 자신의 손에서 떠나면 장서인을 지워버리고 일본은 이미 있는 장서인 위에 소자를 덧 찍으며 중국은 기존의 장서인을 그대로 두고 자신의 장서인을 찍었다이렇게 장서인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 동양 3국의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는 하나의 키워드로 작용한다.

 

장서인’, ‘책벌레’, ‘쇄서’, ‘운초’, ‘용서’ 등 현대사회에서는 다소 생소한 단어와의 만남을 통해 책과 관련된 문화를 확인하게 된다이처럼 정민 교수가 이 책에서 책에 미친 책벌레들과 기록에 홀린 메모광들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을 통해 한 사회와 그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에 있어 보인다여전히 주요한 관심사 중 하나인 인문학이 주목하는 것 역시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여겨지기에 이 책이 주는 의미를 되새겨 본다.

 

책의 여백에 메모를 남기든 따로 메모장을 만들어 사용하든 아니면 일상을 함께하는 휴대폰 메모장을 활용하든 생각을 관리하고 발전시키는 도구로 메모가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에서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옛사람들의 독서문화와 기록문화를 살펴 달라진 환경에서 스스로에게 유용한 방법을 찾아 사용하면 될 것이다.옛사람들의 독사와 기록문화를 통해 여전히 막강한 힘을 갖는 독서와 메모의 가치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