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제의 칼 - 소설 동성왕
김현빈 지음 / 주류성 / 2016년 5월
평점 :
산처럼 굳어라, 내 도우리라
한반도 역사에서 삼국시대의 주역으로 한 나라를 이뤄 역사 속에 당당한 존재를 과시했고 그 역사적 기록이나 유물 역시 남아 있지만 고구려나 신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가치를 왜곡하거나 축소한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잊혀진 역사 백제, 망한 나라는 역사의 기록도 사라진다고 했던가. 유독 백제의 역사만 전하는 바가 많지 않다. 더 나아가 있는 역사적 기록이나 유물도 그 가치만큼 주목받지 못하는 듯하다. 그래서 백제 관련 책이 발간되면 늘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것이 소설이라도 주목하고 찾아 읽는다.
소설 동성왕 '백제의 칼'은 충남 공주에 있는 무령왕릉의 주인공 무령왕의 아버지 동성왕의 이야기다. 동성왕에 대한 역사기록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들이 현존한다.
"동성왕은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모대(牟大), 시호는 동성(東城)이다. 이름을 따서 모대왕(牟大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에는 이름이 마모(摩牟)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마제(麻帝)나 여대(餘大)라고도 한다고 되어 있다."
"동성왕은 신라와의 동맹을 기초로 국방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의 남하를 막아냈으며, 웅진 천도 이후의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여 왕권을 강화했다."
"동성왕은 대규모 토목사업과 거듭된 자연재해로 점차 민심을 잃었다. 자객에 의해 동성왕이 죽은 뒤 둘째아들인 무령왕이 왕위를 이었다."
백제가 한성백제에서 고구려의 남진정책에 의한 전쟁에서 패배한 후 웅진백제 시대를 열고 그 중흥의 문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동성왕에 대한 역사의 기록들이다. 이런 흔적들을 조합하더라도 한 왕에 대한 이야기를 따라가기에는 상상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추락한 왕권, 귀족들의 권력다툼, 고구려, 신라와의 전쟁 등 복잡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왜에 있던 모대는 귀족들의 수장인 진로에 의해 어라하로 결정되어 본국 백제 왕에 등극한다. 신권이 왕권보다 강한 정치정세를 극복하고 왕권을 강화를 바탕으로 국내 정치권력의 재편과 국제적 관계에서 독립성이 획득 과정을 역사적 기록과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동성왕의 유년기부터 죽음까지를 그린 작품이다.
여기에다 중국의 사서에 기록되어 있으나 논란이 되고 있는 ‘백제와 북위의 전쟁’과 이의 지역적 근거가 되는 ‘위서 백제’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야기rk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은 작가의 역사를 보는 시각에 어떤 것인지를 짐작케 한다. 아쉬운 점은 문장과 문장사이 장면의 전환이나 이야기의 흐름상 앞 뒤가 구분되어야 하는 내용이 혼재되어 있다. 이야기를 따라가기 버겁게 하는 요소다.
잊혀져가는 백제 역사의 한 시대를 통해 백제가 어떤 힘을 가진 나라였는지를 상상할 실마리를 얻는 기회가 된다. 이를 계기로 백제 역사가 더 주목받는 기회가 되길 바래본다. 모대의 아버지 곤지가 말했다는 ‘산처럼 굳어라, 내 도우리라’에 소설 동성왕 '백제의 칼'에서 하고 싶었던 작가의 본심은 아닐까 유추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