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나무'
붉은 왕관의 꽃이 유난히 반짝였다. 하지만 꽃보다 다른 무엇에 주목하여 귀하게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 나무가 그렇다. 꽃보다 잎이다.


자귀나무는 콩목 콩과의 식물이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관상수로 심기도 한다. 열매로만 본다면 아까시나무와 구별이 쉽지 않다.


두 잎을 맞대고 밤을 보내는 특징 때문에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이로부터 안방 창가에 심어두면 부부 금술이 좋아진다는 말이 유래되기도 한다.


꽃은 6~7월이면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달리며 기다란 분홍 수술이 술처럼 늘어져 매우 아름답다. 열매는 콩과 식물답게 콩깍지 모양이다. 금세 떨어지지 않고 겨울 바람에 부딪혀 달가닥거린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신경쇠약·불면증에 약용한다.


역시 나무잎에 주목하여 '가슴이 두근거림', '환희'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