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관 - 상 - 왕을 기록하는 여인
박준수 지음, 홍성덕 사진 / 청년정신 / 2015년 11월
평점 :
역사에 기록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논란은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주도하에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과정은 필히 무슨 곡절이 있는 듯싶기도 하다. 역사를 걸고 그에 대한 정반대의 해석을 하는 세력들의 차이는 결코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국민 대다수의 반대의견에도 불구하고 역사라는 이름을 걸고 진행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지켜볼 일이다.
역사의 평가는 곧 기록으로 남기는 일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역사에 기록된 평가에 의해 사람의 역사적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그 평가는 새로운 해석이 되기 전까지 유효하며 쉽게 바꿔지지도 않는다. 안중근과 이완용이 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역사 기록의 엄중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역사에 기록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대의 일이라 여겨서 그렇게 무시하는 것일까?
우리 역사에서 이런 기록에 관해서는 ‘왕조실록’을 빼놓을 수 없다. 그 실록을 기록했던 사관들의 활동을 살펴 역사에 이름을 올린다는 의미가 무엇일까에 대해 주목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박준수의 “왕을 기록하는 여인 ‘사관’”은 역사 기록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직필은 살아서 죽고 곡필은 죽어서 죽는다. 사관이란 늘 칼날 위에 서 있는 사람들이다."
수양대군, 계유정난과 단종의 선위와 죽음 이후 세조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그려간다.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의 활동을 통해 왕의 일상과 사관의 역할에 주목한다. 공적인 활동에 대한 기록은 사관의 일이다. 왕은 역사에 기록될 모습을 대한 욕심과 그에 반하는 역사의 진실을 후세에 전하고자 고군분투한 사관들의 사이에서 서로 부딪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폭풍의 시대를 살았던 사관들의 맨얼굴을 만난다. 그 중심에 남장 여자 사관이 있다.
사라졌던 계유정난의 기록인 ‘정난일기’가 다시 나타나면서 궁궐에는 폭풍이 일기 시작한다. 세조와 한명회를 비롯한 정난공신과 사이에 서로에 대한 의심과 갈등이 표면화된다. 의심하고 죽고 죽이는 과정에 공통된 분모가 ‘사초’에 있다. 이 사초를 둘러싼 왕의 세력과 이와 맞서는 세력 사이에서 벌어지는 암투 과정이 그려진다. 또 한축으로는 왕을 기록하는 사관에 남장 여인을 등장시켜 왕의 은밀한 부분까지를 기록하려는 의도가 흥미롭게 전개된다.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추진되는 시대에 왕조실록의 기록과정을 통해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