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옛것이 좋아 때론 깨진 빗돌을 찾아다녔다 - 추사 김정희의 금석학 조선 문명의 힘 2
박철상 지음 / 너머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특별히 주목하는 저자들이 몇 분 있다우리 옛그림 읽어주는 고 오주석손철주이종수와 역사분야 이덕일고전에서 행간을 읽어 사람의 심사를 추적하는 설흔고미숙한국고전 분야에 정민한국문학에서 한승원과 김훈이 그들이다내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서 그분들의 시각과 글맛이 내 기호에 맞기 때문이다여기에 한분을 더 추가한다면 추사 김정희 연구로 여러 권의 책을 낸 박철상이 그다. '새한도', '서재에 살다', '정조의 비밀 어찰'로 만났던 저자의 글에 관심이 많다그가 김정희 연구로 새로 출간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저자 박철상이 나는 옛것이 좋아 때론 깨진 빗돌을 찾아다녔다 에서 주목하는 추사 김정희는 금석학자로의 김정희다그동안 추사 김정희에 대한 이해는 일찍이 중국에 들어가 옹방강으로부터 금석학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북한산 진흥왕순수비를 밝혀낸 것 등 지극히 단편적인 몇 가지 사실이 전부였다이 책을 통해 금석학자 김정희 본래의 진가를 만나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된다.


조선의 금석학유득공의 업적과 김정희옹방강과 김정희금석학의 또 다른 정수 추사체 등 이와 관련된 내용을 통해 조선의 금석학이 어떤 경로를 통해 자리 잡을 수 있었는지를 살피며 그 속에서 추사 김정희의 역할을 추적해 간다저자는 여기에서 김정희의 특출한 재능이나 사회적 배경에 주목하여 금석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추사 김정희에게만 돌리지는 않고 있다무슨 학문이든 선대의 업적을 이어받아 그 업적을 딛고 탁월한 업적을 남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금석학의 출발도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고 중국 대륙의 영향을 배재할 수 없다특히 여기에서 살피는 금석학의 경우 조선후기 사회적 분위기와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북학에 대한 열망이 커지는 것 속에서 청나라와 학문적 교류가 날로 확대되던 배경이 한 몫한 것이다김정희와 옹방강 부자와의 교류를 바탕으로 교루가 이뤄지면서 금석학 분야에서도 중국의 지식인 사이에 열풍이 일어 자연스럽게 조선 사회에서도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잡아가는 과정이 되었고 그 중심에 추사 김정희가 있었다.


김정희가 쓴 대련 중에 호고유시수단갈(好古有時搜斷碣), 연경누일파음시(硏經婁日罷吟詩)”가 있다. “옛것을 좋아하여 때로는 깨진 빗돌을 찾아다녔고경전을 연구하느라 여러 날 시 읊기도 그만뒀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저자는 추사 김정희의 학문의 기본 바탕이 되는 점을 찾아낸다. “그것은수단갈(搜斷碣)’은 금석학(金石學)에 몰두해 있는 모습을, ‘연경(硏經)’은 경학(經學)에 빠져 있는 모습을그리고 호고(好古)’라는 두 글자는 김정희의 학문과 예술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사상이다옛것을 좋아하다 보니(好古옛것을 본받게 되고(法古), 옛것을 제대로 본받는 것이 바로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創新).” 법고창신으로 역사 고증 금석학과 추사체를 만들어 낸 김정희의 학문의 정신의 바탕으로 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의 출간에 부처 내년이면 김정희가 북한산 진흥왕순수비를 고증한 지 200년이 된다조선에 금석학이 태동한지 20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이 책이 김정희의 학예를 기리는 데 조그만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 한다. “옛것을 좋아하여 때로는 깨진 빗돌을 찾아다녔고경전을 연구하느라 여러 날 시 읊기도 그만뒀다김정희의 마음을 담아낸 문구로 이보다 더 적절한 말이 있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