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0엔 보관가게
오야마 준코 지음, 이소담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믿음을 권하는 보관 가계

깊은 사연이 있으나 이제는 보내야 하는 물건이 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용도 폐기될 물건이지만 그렇게 처분하기에는 마음에 무게를 감당하기가 버거운 것일 때는 난감할지도 모른다이런 것을 해결해 주는 곳이 있다면 어떨까?

 

오먀마 준코의 하루 100엔 보관가계가 바로 그런 일을 해 주는 곳이다이른바 하루 100엔으로 물건을 맡아주는 보관가게가 그곳이다여기는 누구든 어떤 물건이든 하루 100엔에 기한을 정해 물건을 맡기고 찾아가면 된다찾아가지 않으면 주인이 알아서 처분한다는 조건에 동의해야 가능한 거래이니까주인은 손님이 가져온 물건을 소중히 맡아 보관하고 손님이 다시 찾아오면 내어준다어떤 물건이든 상관없다그 물건을 맡김으로 위안 받는다.

 

보관가계에는 주인과 사장이라 불리는 고양이 그리고 진열장과 출입문 위 휘장이 전부다이들이 보관가계를 찾는 손님들의 이야기를 엮었다보관가계가 만들어지기 까지 과정을 설명한 후 그 가계와 온 특별한 손님의 이야기를 소개한다아버지와 엄마의 이혼 서류사람을 다치게 한 권총아버지에게 졸업 선물로 받은 자전거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오르골도서관에서 대출 받은 책 등 속사정을 간직한 물건들을 맡기는 손님들은 보관가게와의 인연을 계기로 자신의 진심을 다시금 확인한다.

 

눈먼 주인과 고양이 사장이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런 곳이 있다면 나는 이 보관가게에 무엇을 맡길 수 있을까그 물건을 맡겨 위안 받을 무엇이 있기는 한 걸까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 얽혀 살아가는 사람들은 지위고하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아는 사람들에게는 들키고 싶지 않은 사연 한 두 개 쯤은 안고 살아간다.그런 사연을 누군가에게 털어 놓을 수 있다면 그로부터 위안과 치유는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이 보관가계는 물건을 맡아주는 것으로 그 일의 시작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준다.

 

무엇으로 불러도 상관없을 것이다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스스로 치유의 길로 들어서는데 단초를 만들어 주는 곳이라면 말이다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물건을 특별히 안심할 수 있는 곳에 맡긴다는 것은 스스로 위안 삼고자하는 출발이다그 출발선에 보관가계가 있다이 보관가계의 설정은 눈먼 장인이 주인이라는 것과 주인 이외 다른 시점으로 관찰한다는 점이다주인이 눈먼 사람을 설정한 것은 손님에 대한 배려로 보인다비밀스러운 물건을 안심하고 맡길 수 있게 하는 장치다그리고 주인이나 손님의 시점이 아니라 그 공간에 항상 자리하고 있는 다른 사물 시점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기에 보다 객관성을 확보하려는 장치로 보인다.

 

"이곳은 모두가 돌아올 장소입니다언제까지나 변하지 않고 기다려주는 장소입니다."

 

하여이 소설은 성공적으로 보관가계의 임무를 완성해간다이는 한번 찾았던 손님이 식나이 훌쩍 지난 훗날 다시 찾아와 살아오며 가슴에 쌓아 두었던 삶의 무게를 내려놓고자 한다는 것이다흐른 세월만큼이나 변한 손님들이 이제는 돌아와 자신을 찾아갈 의지처로 삼는다는 것에서 확인한다.

 

이러 공간이 있다면 난 무엇을 맡길까아니 맡길 수나 있을까맡긴다는 것이 스스로 치유의 시작을 한다는 것이게 쉽지 않을 결정이 될 것이다물건은 맡기는 것에서 끝나지 않은 가슴 뭉쿨하게 하는 무엇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