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관습을 벗어나 주체적 삶을 찾아가는 여성

전환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문화의 충돌은 어쩔 수 없이 겪어야만 하는 필수 과정과도 같다. 이전 시대의 특성은 아직 남아 시대를 지배하고 있지만 새롭게 등장한 흐름 앞에서 흔들리기 마련이다. 이러한 전환기의 특징은 일제 강점기나 해방 전후, 386으로 대표되는 시대 등과 같은 사회적 격변기와도 그 맥을 같이한다고 보여 진다. 이런 사회의 특징적인 모습으로 사람들의 가치관의 혼란이 우선적으로 주목받게 된다. 문학작품에서는 바로 이런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심리적 갈등이나 삶의 태도 등에 주목하여 이야기를 전개하는 경우가 많다.

 

토지의 작가 박경리의 사후 묻혀져 있던 작품들이 발굴되어 새롭게 독자들과 만나는 기회가 있어 반갑다. 2013표류도, 파시2014은하와 같은 작품들이 그것이다. 미발표 작품이나 발표되었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작품들을 새롭게 단장하여 독자와 작가를 이어주는 출판사의 노력이 귀하여 여겨진다. 1950년대를 살았던 젊은이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담고 있는 은하1960년 대구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이다.

 

은하는 대학생이라는 신분이면 사회적으로 상당한 대우를 받았던 시대를 살아가는 여대생과 그 주변 인물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기존 세대의 가치관과 새롭게 대두되는 가치관이 혼재된 시대를 그려내고 있다. ‘기성관념의 소산과 위선에서 벗어나 주체적 가치관을 지닌 현대적 여성의 삶을 제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유학 간 애인으로부터 소식이 끊기고 친한 친구는 탈영한 애인을 하숙집에 숨겨주며 불안한 일상을 살아간다. 그런 어느 날 애인의 친구라는 사람이 찾아와 그 애인은 유학하는 동안 만난 여자와 어쩔 수 없이 결혼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방황하면서 시골 아버지에게서 내려오라는 편지를 받고 시골로 내려간다. 집안을 살리기 위해 재취 자리이지만 결혼하라는 아버지의 말에 자신의 감정과는 상관없이 결혼하고 남편과 아버지 그리고 계모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의 한축으로 살아가지만 현실로부터 벗어나지도 못한다. 그러다 남편과 계모의 부적절한 관계를 알고 난 후 도망치듯 서울로 올라와 새로운 삶을 꿈꾸지만 여전히 과거로부터 발목이 잡힌 상태다. 우여곡절 끝에 자신에게 애인의 결혼소식을 전해준 남자와 새로운 삶의 희망을 꿈꾸게 되면서 막을 내린다.

 

소설의 제목인 은하는 사람의 수와 같이 많은 별이 무수히 흘러간다는 낭만적인 대화체로 통속적인 연애 소설로 여겨진다. 개인의 운명과 시대적 관습에 얽매여 자신의 주체적 삶을 포기해버렸던 은희가 자신의 감정을 은폐하던 위선으로부터 벗어나 주체적 삶을 살아가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1960년대 시대적 격변기에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낭만적 고뇌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여겨지지만 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환경의 변화 등으로부터 시각을 벗어난 작품으로 지극히 개인적인 삶에 치중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