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 가는 맛과 멋을 찾아서
가마니, 절구, 새우젓 독, 바가지, 멍석, 신선로, 쌀뒤주, 제기, 체, 떡살, 옹기, 칠기, 고리, 구절판, 조리, 식칼, 가마솥, 도마, 술잔, 돌확, 수저, 채반, 맷돌, 소쿠리와 광주리, 밥상보, 주령구, 자·되·저울, 막사발, 소반, 유기, 밥그릇, 찬장과 찬탁
하나 둘 이들의 이름을 불러본다. 그리 멀지 않은 시간 속에서는 분명하게 살아 우리의 일상과 함께한 물건들이다. 이들 중에는 여전히 우리의 식생활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이름마저 생소한 것들도 있다. 물론 나이 50을 넘긴 내 또래들에게는 거의 모두를 기억하는 공감대가 있을 것이다.
음식을 만들고 나눠 먹는 문화가 변하면서 일상적인 식생활 문화도 변했다. 먹는 문화의 변화는 많은 부분에서 동반된 변화를 초래하거나 역으로 살아가는 일상의 변화가 식생활의 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이런 상호 작용에 의해 오늘날 우리들의 식생활 문화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 과정에서 위에서 언급한 도구들은 이제 장식용품으로 전락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잊혀져가는 식도구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 송영애의 ‘식기장 이야기’다. 식기장은 식기를 넣어두는 장으로 그 장 속에 들어갈 만한 도구에서부터 음식을 만들 때 사용되는 갖가지 도구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옛 어머니들이 식기를 모아 보관했던 식기장처럼 이 책에서의 식기장은 바로 그런 식기들의 이야기를 모아 둔 곳으로써 의믿 ㅗ함께하고 있어 보인다.
“누군가에게는 식도구가 단순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도구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자부심이다. 떡살은 남한테 빌려주지 않는 집안의 권력이었다. 특히나 우리나라 식도구들은 유난히 시집살이와 관련이 많다. 며느리들은 친정과의 인연을 끊고 모진 시집살이를 견디라는 의미에서 칼과 도마를 받았다. 시집온 이후에는 친정아버지에게서 선물 받은 돌확에 서러움도 같이 갈았다.”
저자가 펼쳐가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김없이 도착하는 곳이 있다. 바로 내가 나고 자란 고향의 밥상이다. 그 밥상에 밥을 비롯하여 음식을 올리던 사람들의 삶과 마음까지 고스란이 담았다. 발품 팔아 돌아다니며 만난 사람들과 그 사람들의 남은 흔적인 도구들에서 건져 올린 사람 사는 이야기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 역사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지역과 남녀를 뛰어넘어 결국은 옜 기억 속 어머니의 그 밥상으로 불러 모은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종가(宗家)전시가 열렸다. 웬일인지 운조루 쌀뒤주는 보이지 않았다. ‘쌀뒤주는 빌려주는 물건이 아니다, 전시하는 석 달 동안 쌀뒤주를 밖으로 내놓을 수도 없다, 운조루 쌀뒤주는 예전 그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집안 종부의 의지 때문이었다.”
음식을 대하는 옛 사람의 마음을 이보다 더 간절하게 담은 말이 있을까 싶다. 쌀뒤주에 담은 마음이 곧 밥과 사람의 관계, 그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의 마음이 곧 우리들이 보고 자랐던 음식문화였고 우리의 삶을 지켜준 정신이었다고 본다.
“가만히 있어도 멋이 있고 바라만 봐도 낭만이 있고 만지기만 해도 그리움이 있는 서른둘의 식도구들”을 찾아서 담아온 저자의 노고가 넉넉하고 따스한 이야기와 사진 속에서 빛나고 있다. 그 수고로움에 의해 우리 기억 속에 자리하고 있는 ‘멋과 맛’의 본래 자리를 찾아가는 시간을 갖기에 충분하다.
생활의 변화는 그 생활을 유지시켜주는 환경과 조건의 변화와 직결된다.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의 음식문화 속에 자리 잡았던 식도구들 역시 새로운 운명 속에서 제 갈 길을 갈 것이다. 그렇더라도 우리의 조상들의 삶의 정신이 담겨 있는 그 뜻만이라도 이어갈 수 있길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