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용과 1766년 - 조선 지성계를 흔든 연행록을 읽다
강명관 지음 / 한국고전번역원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홍대용의 연행록을 통해 조선후기를 이해한다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사람들로 북학파를 빼놓을 수 없다.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관을 형성했던 조선사회에서 사상적 균열의 시발점이 북학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박지원, 박제가를 비롯한 북학파로 불리는 일단의 사람들의 좌장격인 사람이 있다. 그가 홍대용이다.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은 노론 집안의 양반 가문에서 태어나 여러 번 과거에 실패하고 음직으로 군수까지 지냈다. 천문, 지리 등 과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특히, 거문고를 비롯하여 악기에도 탁월한 소질을 발휘했다. 그의 활약은 1765년 초의 북경(北京) 방문을 계기로 서양 과학의 영향을 깊이 받아서 가능해진 것이었다. 그가 중국을 방문한 것은 연행사(燕行使)의 서장관으로 임명된 작은아버지 홍억(洪檍)의 수행군관으로 60여 일 동안 북경에 머물면서 두 가지 중요한 경험을 했다. 하나는 우연히 사귀게 된 항저우(杭州) 출신의 엄성과 반정균, 육비 등 중국 학자들과 개인적인 교분을 갖게 된 일이며, 다른 하나는 북경에 머물고 있던 서양 선교사들을 찾아가 서양 문물을 구경하고 필담을 나눈 것이다. 이런 연행 기록은 연기(燕記)’을병연행록으로 남겼다.

 

강명관의 홍대용과 1766는 바로 홍대용이 연경을 다녀와서 남긴 연기(燕記)’을병연행록을 바탕으로 그가 걸었던 연행의 길을 따라가며 홍대용의 이야기를 펼쳐가고 있는 책이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나 박제가의 북학의도 바로 홍대용의 연행록이 미친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만큼 홍대용의 연행록이 당시 조선 지식인 사이에 미친 영향력은 지대한 것이었다.

 

홍대용은 1765년에서 1766년 사이 청이 지배하던 중국을 방문하고 보고 느낀 것으로부터 당시 성리학을 중심으로 한 조선 사대부, 지식인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펴져 있던 중화주의의 견고한 벽을 허물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의외인 점은 과학적 기술의 선두주자였던 홍대용 역시 중화주의의 상상적 경향성이 강한 사람이었다는 점이다. 중국에 머무는 동안 새로운 과학지식을 얻고자 하는 것과 동시에 명나라를 잊지 않고 기억하는 선비들을 만나고 싶어 했다는 것이다.

 

그런 열망 속에 만난 사람이 바로 엄성, 반정균, 육비와 같은 선비들이었다. 홍대용은 이들과의 만남에서 서로 마음을 터놓고 호형호제하는 사이가 되었으며 귀국 후에도 편지를 통해 안부를 묻고 선비로써 갖춰야할 품성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이러한 만남은 후대 사람들에게 중국 지식인과의 사귐에 대한 귀감이 되어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와 같은 사람들이 중국을 방문하여 홍대용 이후 인적 교류가 이어지게 되었고 이후 김정희에게까지 전해지게 된다.

 

저자 강명관은 홍대용의 연행록인 연기(燕記)’을병연행록을 통해 이 여행기가 왜 당시 조선 지식인들에게 큰 논란거리가 되었는지, 그것이 이후 조선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나아가 지금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이야기 한다. 강명관이 홍대용에게서 주목하는 것은 상대에 대한 적극적인 관찰과 대화를 통해 편견을 깨고, 보다 앞선 세계에 대해서는 배우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홍대용을 통해 조선 후기 사상의 흐름과 변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