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치락뒤치락,

들뜬 왼발과

떠오르는 오른발,

판났다!”

 

단원 김홍도(金弘道), 씨름

조선 18세기 후반, 단원풍속화첩 중, 종이에 수묵담채, 보물 제527

 

절정의 순간이다. 모여든 사람들이 각가지 모양으로 이 순간을 주목하고 있다. 구경꾼들이 만든 경계는 자연스럽게 씨름판이 되었다. 갓을 벗고, 부채를 흔들고, 얼굴을 가리고, 신발을 벗어두고 순서를 기다리고, 짐짓 딴청을 부리는 사람들이 모여 씨름판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곧 판가름 날 것 같은 상황이다.

 

누가 이길까? 오른쪽 하단의 두 사람은 낌새를 알아채고 움츠린 모습니다. 오주석에 의하면 이 사람은 너무 놀란 나머지 오른 손과 왼 손의 위치가 바뀌었다고 보았다. “꼼꼼히 살피지 않으면 전혀 의식할 수 없는 이 장면을 두고 화가가 씨름판의 열기와 긴박감에 취해 실수했다고들 하는 이도 있으나 아마도 뒷모습을 얼굴이 반 넘어 보이게 그리다 보니 아차하는 순간에 앞모습으로 착각한 것일 게다.”

 

모두가 이목을 집중하는 판에 오직 한사람만이 딴전이다. 엿장수는 씨름의 승부에는 관심 없다는 듯 먼 산을 바라보고 있다. 단오풍정의 한 단면을 묘사한 이 씨름판엔 무엇이 걸렸을까? 어린 시절 동네 씨름판엔 송아지도 걸려있고 쌀이나 솥단지와 같은 일상에서 필요한 것들을 상품으로 걸었다.

 

이 한편의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들은 씨름판이라는 것 이외에도 많다. 평민과 양반이 누구인지, 구경꾼들의 신분은 물론 다음 출전 선수가 누구인지, 부채를 통해 세시풍속에 구경꾼의 성격까지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그런데 모두 남자들뿐이다. 여자들은 어디 갔을까? 단오 날이라 여인네들만의 놀이가 있었다. 이런 다양하고 세심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 풍속화가 가지는 긍정적 측면일 것이다.

 

이 그림이 씨름판 한 복판에 있는 것처럼 사실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빙 둘러앉은 구경꾼으로 동그라미를 이루게 하고 그들의 구심적인 시선의 한복판에 씨름꾼을 놓아 그림에 강한 통일성을 주었다. 하지만 통일성만 강해도 그림이 답답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오른편 가를 일부러 텅 터놓았다. 또 시선이 모이기만 해도 단조로우니 엿장수는 짐짓 딴 데를 본다. 한편 갓과 벙거지를 적당히 흩어놓아 화면에 리듬감이 살아 있고 부채 또한 여기저기서 같은 역할을 한다.” 김홍도의 화격이리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 편안하고 인간적인 풍속화로 우리에게 친숙한 조선시대 화가다. 씨름, 서당, 무동, 대장간, 빨래터 등의 풍속화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풍속화 분위기에 어울리게 얼굴도 희고 잘생겼으며 성격도 좋았다고 전한다. 거문고 대금 등 악기 연주에도 능했고 시도 잘 지었다고 한다. 또한 김홍도는 술을 좋아해 유명한 일화를 남겼다. “그림값 3000전을 받아 2000전은 매화를 사고 800전은 술을 마시고 겨우 남은 200전으로 쌀과 땔감을 샀다.”는 것이다. 김홍도의 풍속화가 이처럼 풍류가 넘치는 감각과 세상을 바라보는 따스한 시선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