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의 본성은

인의예지니,

얼굴에 드러나기

마련이라

 

 

작자 미상, 이재 초상(李縡 肖像)

조선 19세기 초반, 비단에 채색

 

나이 들어 내 모습이 어떨까 생각해 보곤 한다. 그런 생각을 하면 떠오르는 초상화가 바로 이 초상화다.

 

誠於內 形於外 마음에 성실함이 있으면 그것은 저절로 외모 밖으로 드러나지 마련이다.” 이런 옛 사람들의 이야기에 적합한 그림이다. 똑바로 앉아 두 손을 반듯하게 맞잡은 선비가 강렬한 눈빛으로 앞을 바라보고 있다. 나이듦이 그대로 드러나지만 그 의지가 손상됨이 없다. 복건과 심의 차림의 모습이 단정하여 선비의 기상을 돋보이게 한다.

 

평생을 한결같이 학문과 수양으로 살아왔을 선비의 꼬장꼬장한 성품이 엿보일 듯하다.”

훌륭한 초상화란 외모 뿐 만이 아니라 그 인물이 가진 성격이나 인품이 그림 속에 묻어 나와야 한다. “一毫不似 便是他人 터럭 한 오라기가 달라도 남이다라고 불렀다. 이렇게 조선의 초상화는 예쁜 모습이 아니라 진실한 모습 즉 참된 모습을 그리려 했기 때문에 외면보다는 정신을 담아내고 있다. 이 초상화를 떠올리는 것은 바로 그런 초상화에 담긴 주인공의 삶을 닮아 보고 싶은 마음인 것이다.

 

이 초상화는 전() 이재 초상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오주석이 한국미 특강에서 날카로운 눈썰미에 의해 이채(李采) 초상임을 밝혔다. 이채(李采, 1745-1820)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재(李縡, 1680~1746)의 손자다. () 이재 초상은 이채 초상보다 십여 년 더 늙은 모습이라는 것이다. 오주석에 의해 제 이름을 찾은 것이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