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 학고재 산문선 16
최순우 지음 / 학고재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것의 아름다움의 본질은?

우리 문화재의 진가는 어디에 있을까? 고려청자 연화문 매병, 고려와 조선을 잇는 청화백자, 임진왜란 후 일본인 극찬한 다완 등 오늘날 그 가치를 매기가가 어려울 정도로 귀한 대접을 받는 우리 문화유물에 깃들어 있는 진정한 가치는 무엇으로부터 기인한 것일까? 단지, 오랜 시간을 견뎌온 사람의 창작물이기에 주목받는 이유도 분명 있겠지만 그것보다는 그 창작물에 담긴 정신으로부터 찾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런 명품을 만들어낸 우리 민족의 삶과 그들로부터 만들어진 창작물은 분리되어 생각해서는 그 진가를 제대로 알 수 없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리라. 일찍이 우리 것의 아름다움에 주목하며 그 진가를 널리 알리고자 노력했던 혜곡 최순우(1916~1981) 선생의 중심에는 아름다움이 있었다고 보인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로 우리 문화재가 담고 있는 아름다움이 무엇인지를 알려준 최순우 선생이 아름다움으로 우리 것의 본질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산문집이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여러 매체에 발표했던 글을 모아 엮어 낸 책이다. 최순우 선생이 아름다움에 주목하며 그런 아름다움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를 생각하여 밝히고 있다. 최순우 선생이 주목한 우리 것의 아름다움은 특별한 무엇이나, 특정한 사물에 깃들어 있는 공통된 아름다움이다. ‘달 그림자 노니는 영창, 먼 산 바라보는 굴뚝, 서리 찬 밤의 화로, 가냘픈 연두빛 무순, 가을비에 촉촉이 젖은 낙엽의 스산함등이 그것이다.

 

최순우 선생이 세상을 떠난 지 20여년이 지났고 이 책이 출간 된지도 10여년이 훌쩍 넘었다. 이는 시간이 지난 이야기에기에 자칫 고리타분하거나 시대성이 뒤떨어질 수도 있음을 염려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기우임을 밝히고자 한다. 본질적 내용에 있어서 오히려 이 시기에 우리가 심사숙고해야 할 내용이 아닌가 싶다.

 

위에서 최순우가 주목했던 아름다움은 지극히 일상적인 삶속에서 누구나 공감하고 누릴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런 아름다움 속에서 살아온 우리 민족이기에 문화재 역시 필연적으로 아름다울 수밖에 없다고 본다.

 

"첫눈에 눈을 사로잡는 화려함이나 눈을 부릅뜨고 들여다봐야 하는 근시안적인 신경질이 없으며, 거칠고 성글어 보여도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보면 시원하고 대범하면서 담담하고 조촐하다"

 

최순우 선생의 우리 것에 대한 이야기다. 자연의 일부이기에 자연의 조형미를 벗어나거나 억지로 헤치는 것을 삼갔던 우리 민족의 성정이 그들이 만들어낸 창작물에 고스란히 담겼을 것이다. 이는 또한 그들의 창작물이 어떤 곳에 놓고 보고 즐기려는 목적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으로 만들어졌으며 그렇게 일상에서 추구하는 아름다움에 주목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라 믿는다.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그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살고자 했던 우리 민족의 성정이 바로 아름다움의 근본이기에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는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우리의 아름다움의 전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