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처럼 서러워서 작은숲 에세이 4
김성동 지음 / 작은숲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지난 시간의 기록인 역사는 철저하게 이데올로기에 물들어 있다. 승자의 기록이 역사라는 말이 이를 증명한다. 당대 승리한 자의 시각에서 그들의 행위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자신들에게 불리한 사실을 축소, 삭제, 은폐, 왜곡 등의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기록이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록을 만들고 남기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보는 역사 기록이기에 이를 볼 때는 엄격한 시각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하여, 역사를 보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사관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그 해석은 천지차로 달라질 수밖에 없기에 더욱더 그러하다. 그렇다면 무엇을 중심에 두고 바라봐야 정당한 역사해석이 될까? 올바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그것의 중심이 시대정신과 맥을 같이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시대정신이란 결국 무엇이 옳은가의 문제와 결부되는 것이기에 당시에도 옳고 역사를 해석하는 시점에서도 올바른 것, 바로 의()가 아닐 수 없다.

 

여기서의 의()는 사람과 사람사이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도리를 일컬어 말한다. 그 속에는 나라와 나라, 집단과 집단 간, 개인과 개인 간의 의리 뿐 아니라 스스로 세운 자신의 뜻을 지켜나가는 것 역시 중요한 항목으로 포함된다. 그렇기에 안으로나 밖으로 자신을 나타내는 그 모든 것의 기준을 세움에 있어 바로 인간의 도리를 우선에 두었던 것이다. 이 의()를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의 판단의 근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역사로 기억하는 많은 것들이 과연 올바른 기준에 근거한 선택과 해석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역사적 사실이라고 믿어왔던 많은 것들이 사실과는 어긋난 것이라는 점을 알게 될 때마다 알 수 없는 울분이 치밀어 오른다.

 

이 책 김성동의 염불(念佛)처럼 서러워서도 같은 울분을 느끼게 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김성동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마음으로 자신의 가족사를 언급하면서 역사에서 사라졌거나 축소, 왜곡되어 전해지고 있는 일들을 오늘의 주제로 불러오고 있다. 김성동은 오늘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며 우리의 미래를 염려하는 마음에서 역사에 주목한 것이다. 바로 역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그래서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우리라는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출발한 어른의 가르침을 담은 이야기로 읽힌다.

 

김성동이 주목한 역사로는 패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륙백제, 궁예, 묘청, 신돈, 이징옥, 김개남, 김백선, 최서해 남로당 등이 그 대상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패배자라는 것이다. 기존 역사서에서와는 다른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철저히 승리자의 시각에서 지워지고 왜곡된 기록으로 남은 사람들이기에 그들의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알지 못하여 잘못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를 잘못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부끄러울 수도 있는 과거를 올바로 청산하지 못한 점을 들고 있다. 청산해야 할 과거는 조선조 말 탐관오리와 아전배 친일파 미제국주의 세계 지배 전략인 반공 이데올로기로 무장된 친미파 오늘의 수구 기득권층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렇게 청산해야할 과거를 청산하지 못하고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것으로부터 많은 부분에서 덜미를 잡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현실에서 무엇을 올바로 극복할 것인가를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수백 명의 피지도 못한 목숨을 바다에 수장시키고도 그 책임자에 대한 처벌은 입에도 올리는 못하는 것처럼 우리의 발길이 붙잡힌 것을 개탄한다.

 

기존 역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역사를 김성동은 주목하며 그 사람들의 면면을 다시 밝힘으로써 패배자라는 이름으로 역사에서 밀려난 우리 선조들이 이루고자 하였던 세상이 어떤 세상이었던지는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이 만들고자 했던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움직이다가 어떻게 그리고 왜 쓰러지게 되었는가 하는 역사의 진실만큼은 알아야 하는 것이 자손 된 도리라는 것이다.

 

하여,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사라지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