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자유로운

천성,

예술 속에서

살아나다"

 

 

 

오원 장승업(張承業) 호취도(豪鷲圖)

19세기 후반, 종이에 수묵 담채

 

취화선임권택 감독, 최민식 주연의 영화에서 만난 장승업은자유였다. 사회적 제약과 신분적으로부터의 구속을 벗어버리고 싶은 갈망을 보았다. 그에게 그림이 없었다면 어떻게 살았을까? 무수히 많은 일화와 기이한 소문의 주인공이었던 장승업의 삶에서 그림은 그의 전부였을 것이다.

 

장승업의 정신이 깃들어 있다고 보이는 '호취도'의 독수리를 보면 살아 숨쉬는 장승업의 모습 그대로가 아닐까 싶다. 취화선에서 지붕에 걸터앉아 울부짓던 장승업의 모습이 겹쳐진다. 위의 매는 살기등등한 눈매와 날카로운 부리로 금방이라도 먹이를 향해 달려들 것처럼 보이며 아래의 매는 막 사냥을 끝내고 휴식을 취하는지 조용히 앉아있다. 이처럼 상반된 모습의 두 마리 독수리가 화면을 장악하고 있다.

 

땅 넓고 산 드높아 장한 의기 더해 주고(地闊山高添意氣)

마른 잎에 가을 풀 소리 정신이 새롭구나(楓枯艸動長精神)

 

화제를 쓴 이는 정학교(丁學敎, 1832~1914, 조선말기의 문인서화가로서 장승업의 작품에 화제를 많이 썼다). 호취도의 독수리와 화제의 글씨가 절묘하게 어울린다. 시와 그림에서 그린 이와 글쓴이의 마음이 저절로 통한 경지가 아닌가 싶다.

 

화폭에 선득하니 차가운 바람이 인다. 그것은 자연의 바람이 아니다. 기인奇人 장승업이 큰 붓에 진한 먹물을 듬뿍 묻혀 사납게 휘둘러 댄, 고삐 풀린 천성의 자유분방함이 일으킨 회오리바람인 것이다. 그러나 어쩐 일인가? 나무는 나무, 독수리는 독수리, 풀잎은 풀잎이다. 어느 하나 틀에 맞춰 그린 것이 없으니, 과장과 왜곡은 분명하다. 그런데도 넘쳐나는 이 생명력은 무엇인가? “그것은 형상이기 이전에 움직임이고, 보고 있는 동안 그대로 음악이다.”호취도에 대한 오주석의 평이다.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18431897), 단원(檀園) 김홍도와 혜원(蕙園) 신윤복과 비교해 자기가 그들 보다 못하지 않다는 자신감에서 나 자신도 원()”이라고 했다. 조선시대 말기에 근대회화로의 전통을 이어간 장본인이다. 산수, 인물, 영모, 기명절지, 사군자 등 다양한 화목을 모두 잘 그렸다. 술을 너무 좋아해 취명거사(醉瞑居士)라는 호를 짓기도 했다. 왕의 명으로도 잡지 못한 장승업은 그림 속에서 진정 자유로웠던 장승업이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