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2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옛그림, 보이는 것은 넘어서 되살려내기

그림 한 폭에 담긴 이야기는 무궁무진하다. 그림을 그린이나 그 그림을 보는 이나 같은 것을 보지는 않을 것이다. 이 사이, 틈이 존재하기에 수많은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린이가 무엇을 담고자 했는가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보는이가 무엇을 보는가에 달렸다고 봐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물아일체(物我一體)라는 말이 있다. 외물(外物)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계와 정신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을 나타내는 말이다. 옛 사람들이 대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생각이었다. 그렇게 바라본 대상에는 자연을 비롯한 이웃이나 벗 등 나와 구분되는 모든 것이 포함될 것이다. 이렇게 대상을 바라본다면 시끄러운 세상살이에 번잡하기만 하는 내 마음이 대상에 의해 이렇게 저렇게 변덕을 부리지는 않을 것 같다.

 

옛사람들은 그렇게 세상과 자신을 보았다. 학문하고 여가를 보내는 일상이 바로 그것이었기에 그들이 가슴에 담을 뜻을 표현할 때도 마찬가지였으리라.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고 벗들과 풍류를 즐기는 모든 것에 그런 정신을 담았으니 오늘날 전해지는 시, , 화의 모든 것에서 그 정신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것의 소중함과 가치를 찾아가는 길을 다양하다. 우리 그림에 대한 한없는 애정을 보이며 그림 속에 녹아 있는 옛 사람들의 정서를 느끼고 공유하고 싶어 하는 사람 오주석 같은 사람들이 노력으로 우리 조상들의 숨결이 현대에서 살아나고 있음은 그나마 햇살 비추는 봄날처럼 사람들의 마음에 온기를 전하고 있다.

 

김홍도의 송하맹호도마상청앵도’, 정선의 금강전도’, 정약용의 매화쌍조도’, 민영익의 노근묵란도’, 그리고 작자미상의 이채초상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오주석의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2’는 우여곡절 끝에 발간된 책이다. 저자 오주석이 병고 끝에 유명을 달리한 이후 그를 사랑하는 사람들에 의해 발간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목차에는 들어가 있으나 저자가 완결 짓지 못한 일월오봉병日月五峰屛에 대한 글들은 빠졌다고 한다.

 

여섯점의 그림에 대한 책치고는 분량이 만만치 않다. 그만큼 그림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많다는 점이다. 툭히 눈길이 가는 것은 김홍도의 송하맹호도정선의 금강전도에 대한 저자의 풍부한 해설이다. 송하맹호도에서는 우리나라 호랑이가 우리 민족에게 차지하는 의미에서부터 호랑이의 습성과 일제치하 이후 사라진 배경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금강전도를 해설하는 이야기에는 감히 엄두도 나지 않은 주역을 바탕으로 정선이 금강전도에 담고자 했던 조선의 현재외 미래에 대한 전망까지를 알 수 있게 한다.

 

한 점의 그림에 대해 연관된 그림과 그 그림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자세하게 설명을 담은 대중서는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오주석 이런 욕심을 부린 것일까? 한마디로 오주석의 우리 옛그림에 대한 애정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오주석은 조선의 땅에서 살아온 조선의 화가들, 문인들, 그리고 그들의 작품에 깊은 애정의 눈길을보낸다. ‘글씨든 그림이든 오랫동안 관찰하며 작품세계에빠져들고, ‘깊고 넓은 통찰력으로 그림 한 점 한 점을 아름다운 운율로드러낸다. 이렇게 하여 스스로 읽은 모든 조선 그림이 옛 모습 그대로 생생하게되살아나게 만들기 위해서다. 출간에 부쳐 글을 쓴 미술사학자 강우방의 말이 더더욱 와 닿는다. ‘제 모습을 보지 못하였던 조선 그림의 세계를, 뒤에 오는 그 누군가가 그 정신을 이어받아 펼쳐나가기를 마음 깊이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