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엮음 / 눌와 / 201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제자리 있을 때 더 빛날 우리 문화재

156천여 점,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파악한 국외소재 우리 문화재 숫자다.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기에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국외 소재 문화재가 파악된 이후 반환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한때, 느낌표라는 공중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전 국민적 각성을 촉구하며 문화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됨을 확인하기도 했다.

 

멀리는 두 차례에 걸친 조일전쟁과정과 제국주의 국가들과 국교수교과정, 일제식민지 과정에서 대거 약탈되었거나 불법적 반출, 매매의 과정을 통해 국외로 나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본에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가 있고 심지어 일본의 국보로까지 지정되어 있는 우리 문화재의 현주소를 정확히 밝히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러한 국외소재 한국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연구하고 그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원하는 일을 하고 있는 국외소재문화재단은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문화제청 산하에 설립된 단체로 국외소재 우리 문화재 중 불법적으로 유출된 문화재는 되찾기 위해 힘쓰고, 그렇지 않은 문화재는 현지에서 최대한 활용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는 그간 활동의 성과를 모아 책으로 발간 한 것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 책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는 그 발간 목적을 확실히 하고 있다. 먼저, 해외 문화제 반환 사례를 보다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 확인하고 소개하는 것과 두 번째로 문화재 반환 과정을 사례별, 유형별로 소개하여 그 속에서 찾을 수 있는 교훈과 시사점을 널리 공유하고자 함이라고 밝혔다.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에는 16가지를 사례별, 유형별로 묶어 문화재가 가진 가치와 그 문화재가 국외로 유출된 경로 그리고 이를 찾아내 국내로 가져오는 과정을 담았다. 돌아온 문화재를 유형별로 보면 소장자 기증, 정부협상, 민간의 노력, 민관협력과 일제강점기에 돌아온 문화재로 구별하여 살핀다. 이렇게 돌아온 문화재로는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와 서화류, 와룡매, 테라우치문고 한국 관계 자료, 한일협정 환수문화재 1432, 어재언 장군 수자기, 외규장각 의궤 297, 고종어보 등 문화재 93, 경복궁 자선당 유구, 겸재정선화첩, 김시민 선무공신교서, 북관대첩비,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47, 일본 궁내청 보관 한국 도서 1205,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등이다.

 

이렇게 국외 소재 우리 문화재를 반환이나 기증, 대여와 같은 형식으로 국내로 가져오는 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이 1965년 한일협정 당시 한국과 일본의 협정조항이 그 중심에 있다고 봐야 한다. 또한 문화재에 대한 국제법도 1970년 이전에 일어난 것은 보호받지 못한다는 점도 있다. 문화재 반환은 그 문화재의 가치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곧 자국의 역사와 밀접히 관계 맺고 있기에 불법으로 취득한 것이라면 이를 인정하는 모양세가 되기에 각국이 이를 쉽게 용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여,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서는 민간과 정부가 긴밀하게 협조하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세계 각지에 흩어진 우리 문화재의 수는 최소 156천여 점을 많게는 30만 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문화재는 우리 역사의 순간들을 상기시키는 것이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유물이다. 문화재는 만들어진 당시 그 자리에 있어야 빛난다. 국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일본으로 반출된 북관대첩을 가져와 그것이 있던 북한으로 돌려보낸 사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를 통해 소중한 민간인들의 노력이 주목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 외규장각 도서를 발견한 박병선, 테라우치 문고와 관련된 이종영, 고종어보 관련 조창수, 자선당 유구를 찾아낸 김정동, 겸재정선화첩을 가져온 선지훈 신부 등이 그들이다. 정부의 노력보다 민간인들의 노력에 의해 출발한 경우가 독보적으로 많다는 점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몽유도원도를 비롯해 아직 돌아보지 못한 우리 문화재에 대해 보다 국민 스스로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 기록은 문화재에 깃든 소중한 가치를 후손들과 전 인류에게 온전히 물려주고자 했던 살아 있는 역사이자, 숭고한 실천 활동의 기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