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4)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물빛에 핀

꽃이

좋아

돌아갈 수 없네

 

   

북산 김수철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조선 19세기, 종이에 수묵담채

 

번잡한 도시를 벗어나고 싶은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가 보다. 경치 좋은 자연에 터를 잡고 시간에 따라 자연의 변화를 실감하면서 살고자 하는 것이 소망처럼 되어버린 현대 사회에서 이런 곳에 사는 사람들은 부러움의 대상이 되곤 한다. 요즘 내가 사는 곳에는 아침 안개가 자욱한 것으로 가을이 깊어 감을 알게 된다. 햇살이 번지면서 사라지는 안개를 보며 우리 사람들의 삶 또한 시간 앞에서 안개와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김수철의 하경산수도깨끗하고 밋밋하고 슴슴하다라고 본 오주석의 말을 넘어서는 표현을 찾기 힘들 정도다. 시골마을의 넉넉한 여름 풍경이 그대로 담겨 있다. 딱히 시선을 붙잡는 곳 없이 시원하기만 하다. 다만, 바위의 덩치에 사람 사는 곳이 눌린 느낌이 들뿐 그것마저 자연의 아름다움으로 다가온다.

 

몇 번이나 낚시가 물려 돌아갈까 생각했지만(幾回倦釣思歸去)

이번엔 또 물풀에 핀 꽃이 좋아 한 해를 더 머물겠네(又爲 花住一年)

 

참 세상에 이런 핑계가 있다. 서재 창틈으로 엿보이는 글 읽은 선배가 이따금 시골생활을 무료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그래서 올해는 대처로 돌아갈까 생각을 했지만 이번에 그만 물풀에 핀 꽃에 마음을 뺏겼단다. 이게 턱없는 소리라는 걸 누가 모르겠는가? 건너편 갈대숲이 강바람에 나부끼는 소리며, 집을 둘러싼 교목이 드리우는 넉넉한 그늘, 그리고 아침 저녁 아련하게 들리는 뱃노래 가락에 속병이 단단히 든 인물이 아니란 말인가?”

 

제시를 보는 오주석의 이야기 그대로다. 하지만, 핑계는 사람의 마음이 만들어 내는 것 아니겠는가? 딱히 이유를 댈 수 없는 것도 이런저런 핑계 삼기에 좋은 것이 주변에 마음 붙잡는 자연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그저 먼 산 바라보며 마음 다독이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있기에 말이다.

 

*북산 김수철은 생몰을 알 수 없지만 19세기에 활동한 화가다. 산수와 화훼를 잘 그렸다고 한다. 조선시대 화가들 중 비교적 늦게 알려진 인물이라고 한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