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도세자 - 나는 그들의 비밀을 알고 있다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4년 10월
평점 :
아무도 믿지 말라
권력의 중심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 나라의 권력의 정점에 서 있는 사람의 생각은 그 나라 온 국민의 일상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치가 일상과는 멀어져 보이지만 숨 쉬는 것 빼고 하루를 살아가는 전 과정에서 정치와 관계되지 않은 것이 없을 것이다. 어쩌면 숨 쉬는 것조차 정치와 관련이 있는지도 모를 정도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일상에서 그것을 느끼며 정치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간극이 정치가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이나 개인의 사익을 추구하는 바탕이 아닌가 싶다.
오늘날 대통령을 중심으로 정치가들이 보여주는 모습에서 권력의 근거가 되는 국민은 어디에 있는가를 생각하게 된다. 국민의 일상이나 삶에는 관심 없고 권력의 유지나 집권을 위한 그들의 밥그릇 싸움 말고는 보이지 않으니 한심하기만 하다. 그들이 그렇게 할 수 있는 이면에는 그들을 뽑은 국민들의 선택도 반성해아 할 문제이기도 하다.
이런 권력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인류의 역사와 그 시간을 함께해 온 것이기에 우리 역사에서도 수없이 찾아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역사적 사실로 꼽을 수 있은 것이 조선사의 얼룩을 만들었던 당쟁이 아닐까 한다. 특히, 아버지 영조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의 사건을 보면 권력은 부자지간에도 나눌 없다는 권력의 속성을 여실히 볼 수 있다.
이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야기는 다양한 장르에서 다뤄져왔다. 하지만, 각기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여 무엇이 진실인지에 대한 문제제기만 있을 뿐 이렇다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은 미흡한 것이 아닌가도 싶다. 사도세자의 사건을 바라보는 눈은 노론응 중심으로 하는 그동안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이재운의 ‘사도사제’는 작가가 밝히고 있듯이 역시 자신만의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고 했다. 이는 자신의 가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던 기존 노론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소론 온건파의 시각에서 살핀다는 것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조선의 당파는 동인과 서인, 그리고 서인에서 확장된 노론 소론 등으로 깊이와 무게를 더하며 갈라져 왔고 이 과정에서 당파의 권력을 잡기위해 수많은 사람들을 죽였으며 심지어 왕도 바꾸는 일이 일어났다. 왕권이 약했던 왕은 그들의 세력에 의해 독살을 당했다는 이야기까지 있었으니 얼마나 치열한 권력 싸움이었는지 잠작도 못할 정도다.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 역시 경종의 죽음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이들 당파와 무관하지 않게 왕위 올라 그들의 지지 없이는 왕의 자리조차 위협받을 지경이었다. 이런 힘의 역학관계에 의해 희생된 비운의 왕세자가 바로 사도세자라는 것이다. 이런 시각은 당파와는 상관없이 유지된 시각이다.
여기에 이재운 작가는 노론의 시각으로만 이야기되어온 그동안의 시각에서 소론 그것도 온건파의 시각으로 사도세자 문제를 살핀다. 이는 권력의 싸움에서 밀려나 일정정도 거리르 유지한 사람들의 시각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점은 있다. 하지만, 작가 이재운이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이 그동안 회자된 당파싸움이나 영조의 이야기 등을 지나치게 반복하고 있고 실질적인 시도세자의 이야기는 뒷부분에 극히 짧은 분량만을 할애하여 당파싸움의 이야기만을 하고 있는 듯하다. 그것도 내명부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라 텔레비전 역사 드라마의 흥밋거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의심될 정도다. 특히, 사족과도 같은 자신의 가문이야기를 중간 중간에 끼어 넣어 소설적 흥미도 반감시키고 있다. 뛰어난 성군의 자질을 가진 이미지와 정신병자의 이중적 모습에서 벗어나 사도세자의 진면목을 찾아간다는 출발점에 부합하지 못한 이야기 전개도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