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비평전 - 우리 시대에 던지는 오백년 선비의 역사
이성무 지음 / 글항아리 / 2011년 11월
평점 :
선비정신의 긍정적 가치를 어떻게 살려야 하나?
‘뿌리 깊은 나무’라는 드라마가 주목을 받고 있다. 주목받는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내가 주목하는 요인은 ‘밀본’이라고 하는 것에 있다. 정도전의 유지를 담고 있다는 밀본은 무엇일까? 그것의 실제 존재했는지 여부는 차치하고서라도 조선을 개창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정도전이 꿈 꾼 나라에 대해 주목하기 때문이다. 정조전은 신하의 나라를 꿈꿨다. 강력한 중앙집권에 의해 왕이 나라를 좌지우지 하는 것이 아니라 왕은 상징적의미가 크며 실질적인 권력은 신하들에 의해 움직이는 나라를 설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을 개창한 태조와 이후 왕권에 도전하는 왕족들과 대결하는 과정에 그런 꿈은 무너졌다.
밀본이라는 것이 바로 정도전이 꿈꾼 나라를 대표하는 것이라면 이는 조선시대 권력을 양분했던 신하들의 생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의정부를 중심으로 한 신하들의 권력에 방점을 두고 왕권과 대립한 것이다. 그렇다면 신하들의 권력의 중심이 되는 의정부를 구성했던 세력들은 누구일까? 고려의 신하와 조선이 개국하며 공로를 세운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다. 물론, 고려 왕조에 끝가지 충성하며 조선의 신하로는 살수 없다는 신념을 가진 이들도 있었지만 대세를 따르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조선은 기틀을 만들게 된다. 이 중심에 사대부들인 신하들이 있었고 이후 그들과 그들의 후손들에 의해 조선은 움직이게 된다.
조선을 대표하는 말로 ‘조선은 선비의 나라’라고 한다. 바로 선비들에 사상과 정치적 이념에 의해 왕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움직였다는 것이다. ‘선비’라고 하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조선의 당쟁사와 정치 제도사를 연구해온 저자 이성무의 ‘선비평전’은 바로 조선을 이끌어온 선비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신문 지면에 연재한 글을 모아 책으로 발간한 것이다. 선비의 역사적 유래에서부터 행적, 인간관계, 그들이 지향한 학문, 정치지형도에서의 힘의 역학관계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선비평전’에서 저자는 선비의 개념에 대해 역사적인 고증을 통해 밝히며 그들이 국가를 운영하는 가치와 삶의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들 학문의 중심이 되는 유교문화에 대해서 살핀다. 고려 말 이후 조선조가 진행되는 동안 전쟁이나 당파, 사화 등 각각의 정치지형에서 무슨 역할을 어떻게 하게 되었는지 알아보며 그들의 사상적 지향점, 정치적 실천 등을 밝히고 있다. 또한 부록 ‘선비와 선비사상’에서는 선비들의 삶의 가치를 지탱해 준 철학과 정신세계를 체계적으로 살핀다.
“민본주의는 어디까지나 선비들의 덕치를 표방한 것이요, 백성들은 덕치의 대상일 뿐이었다. 그 점이 현대 민주주의와 다른 점이다. 선비들은 지주이자 관료요, 지식인으로서 조선의 정치 주체였고, 그들이 내세우는 여론정치도 사론士論, 즉 선비들의 여론을 바탕으로 했다.”
조선의 정치이념은 민본정치라고 한다. 이 민본정치가 담고 있는 지향점은 무엇일까? 저자는 선비는 특정한 계급을 형성하며 사회를 지배했다고 이야기한다. 민본의 민은 백성을 지칭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여기에서 민은 정치권력의 중심 역할은 한 것이 아니라 통치의 대상으로써 백성이었다는 점을 확실히 밝히고 있다. 선비라고 하는 계급이 가지는 이중적인 모습이 아닐까도 싶다.
저자는 본문에서 당파를 이야기하며 일부 학계에서 주장하는 당파를 붕당으로 불러야 한다는 이야기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일제가 만들어 놓은 식민사관의 잔재이니 이를 탈피하여 올바른 개념정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일제에 의해 정리된 개념이 그것뿐 아니기에 이 모든 것을 고친다면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이와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또한 송시열과 윤휴의 이야기에서는 주자학에 대한 둘의 입장을 교조주의자와 자유주의자로 보면서 양비론의 입장을 위하고 있다. 저자 자신의 시각이 무엇인지 밝힐 필요도 있지 않을까? 이 점은 사회적 논의나 공감대가 필요한 부분이긴 하나 전공한 학자의 의견을 밝히는 것이 독자로 하여금 판단의 근거를 가지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조선이라는 나라와 선비는 분리해서 설명할 수 없는 시대였다. 불의에 대해 자신의 목숨을 내 놓고 저항하거나 때론 권력의 투쟁과정에서 목숨을 담보로 당파를 세우고 반대당파의 목숨을 빼앗기도 했다. 목숨보다는 의리와 명분이라는 대의를 앞세웠지만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이념과 가치와는 구별되는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게 된다. 이런 시각은 저자가 ‘선비정신’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정신적 가치로 삼을 수 있을지 조심스런 접근을 하고 있다는 점과 맥을 같이한다고 보인다. 선비정신이 담고 있는 긍정적 가치를 오늘날 우리들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깊은 사고가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