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 - 나는 세상과 소통하고 싶다
한한 지음, 김미숙 옮김 / 생각의나무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낯선 세상은 지나간 시간과 더불어 내 안에서 만난다

세상을 만나는 방법은 무수히 많다. 일상을 살아가는 모두가 세상과 만나 아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간다. 일상은 그렇게 세상과 나를 관계 맺으면서도 내가 살아가는 세상 이외에 또 다른 세상에 대한 꿈을 꾸게 만든다. 내가 일상을 살아가며 만나는 세상 말고 또 다른 세상이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어쩜 잃어버렸거나 잊고 살아가는 내 꿈의 일부가 그 또 다른 세상에서는 현실이 되고 있지는 않나 하는 것에 대한 환상은 아닐까?

 

세상을 살아가며 확고한 꿈을 가진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의 시간을 살아가며 마치 꿈과는 상관없는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들 가슴속에는 언제부턴가 소망했던 것들이 하나씩은 자리 잡고 있었을 것이다. 그 꿈이 어린 시절 하늘을 날고 싶었던 일이 될 수도 있고 자신이 해쳐갈 낯선 세상을 향해 외치지 못했던 절망일 수도 있다. 꿈에서 멀어지는 것이 현실을 살아가는 삶이라고도 하지만 꿈을 잃지 않았다면 새롭게 맞이하는 내일은 결코 자신을 잃어버리고 살아가는 오늘을 내일로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음을 깨달아가는 시간이리라.

 

‘나는 세상과 소통하고 싶다’는 ‘1988’이라는 소설의 핵심이다. 나는 세상과 소통하고 싶다라는 말에서 느껴지는 것이 지금까지의 삶이 세상과 단절된 삶이었다는 말은 아닐 것이다. 자신을 둘러싼 세상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살아가지만 그 중심에서 벗어난 있는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어 하는 마음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이해하고 싶은 것이다. 그것은 어쩌면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에 대한 성찰이며 곧 내일은 나의 삶의 중심으로 들어가고 싶은 사람들의 소망의 다른 이름일 테니까 말이다.

 

‘1988’은 주인공이 타는 차의 이름이다. 1988년에 생산된 차라고 하니 주인공이 세상과 만나 자신을 가꿔온 시간과 엇비슷할지도 모른다. 차의 나이로 보면 이미 전성기를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면 주인공 역시 세상과 만남에서 이제는 중심부에서 벗어나 주변부에 머물고 있다는 말로도 들린다. 아니면 세상의 중심에서 벗어난 주변부 삶에 대해 무엇인가 할 말이 있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렇듯 소설 ‘1988’은 세상의 중심에서 열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는 아니다. 교도소에서 출소하는 친구를 만나러 가는 길에 그 친구가 만들어 준 차를 타고 가는 주인공이 또 다른 주변부 인생을 살아가는 매춘부를 만나 길 위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기록으로 채워지고 있다. 애기치 않게 여정에 들어온 낯선 사람과 다소 엉뚱한 일을 겪으며 살아가다 한번쯤 아주 가까운 곳을 시간차이를 두고 걸었던 일상과 마주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의지와는 별 상관도 없이 지나간 일들이다.

 

‘1988’에서 만나는 길은 두 갈래다. 지금 1988를 타고 친구를 만나러 가는 길과 어린 시절 이지 지나간 추억의 길이 그것이다. 그 두 길이 서로 어긋나 결코 만나지 못할 길이 아님을 주인공은 알고 있는 것이 아닐까? 먼 길을 찾아와 만나려 했던 친구는 이미 유골이 되었고 낯선 길에서 동행했던 매춘부는 병원에서 사라졌다. 또한 추억의 길에서 들 동행했던 어린 시절의 친구들 역시 이미 더 먼 길을 떠난 이후다.

 

이 모두는 현재의 자신을 만들어 온 과거의 시간이지만 이미 멈춰있는 것만은 아니다. 살아갈 시간과 살아가며 만나게 될 낯선 세상 속에서 늘 함께 하는 것이다. 매춘부 나나가 새로운 생명을 품고 자신에게 다가오는 낯선 세상에 맞서는 모습은 우리 모두가 살아가는 일상의 그것과 결코 다르지 않음을 아는 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