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유사 ㅣ 동양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9
일연 지음, 최호 옮김 / 홍신문화사 / 2008년 2월
평점 :
우리 역사의 숨결을 찾아서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우여곡절을 겪지만 쉼 없이 이어져오는 역사 속에 담긴 민족의 자긍심과 선조들의 삶의 지혜를 이어받아 미래를 열어갈 희망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 민족이 유구한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잃지 않았던 민족의 힘을 찾고 바른 역사의식으로 지금 우리시대에 겪고 있는 현실의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면한 현실은 역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얼마나 살피는지는 의문이 든다. 일반인이 개별적으로 역사를 보는 것과 정책적으로 역사에 대한 의미를 살리려는 노력은 그 미치는 여파가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나기에 한 나라의 교육정책에서 역사 교육은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이 역사교과서에 대해 그토록 심혈을 기울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것이다.
역사서는 기록자에 의해 선택된 기록이기에 기록자의 세계관이 중요할 것이다. 유구한 역사만큼 많은 역사서를 올바로 살펴보는 기본적인 눈이 그래서 필요한 것이다. 우리민족의 고대사를 기록한 책은 더욱 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까닭에 기록한 시대적 상황과 기록자에 대한 관심 또한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우리민족의 고대사를 기록한 책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책이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가 있다. 두 역사서는 모두 고려시대에 쓰여 진 책이다. 중국의 역사와 뗄 수 없는 우리 역사에서 이 두 역사서가 쓰여 진 시대적 상황을 살펴 책에 담긴 진정성을 살펴야 할 것이다. 삼국유사는 정통역사서로 평가받는 삼국사기에 빠진 이야기를 당시 팽배했던 중국 중심주의 사관에 맞서 민족의식과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삼국유사를 엮었다. 이 점이 삼국유사가 가지는 장점 가운데서도 중요한 점이라 생각한다.
‘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 7년(1281)경에 고려 후기의 승려 일연(一然)이 편찬한 사서(史書)로, 전체 5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는 왕력(王歷), 기이(紀異), 흥법(興法), 탑상(塔像), 의해(義解), 신주(神呪), 감통(感通), 피은(避隱), 효선(孝善) 등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역사, 지리, 문학, 종교, 언어, 민속, 사상, 미술, 고고학 등 총체적인 문화유산의 보고로 평가되고 있다. 삼국사기와는 다른 내용에 대해 무엇을 정사로 삼아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지만 삼국유사가 가지는 의미는 올바로 평가받아야 할 것으로 본다. 삼국유사에 기록 된 이야기가 사실이든 아니든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이 이야기에 감춰진 의미가 무엇이며 이 이야기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일 것이다.
홍신문화사에서 발행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사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삼국유사를 현대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해석한 책으로 보인다. 한문인 원문을 현대인이 읽어가기란 어려운 점이 만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기에 번역자의 번역에 의존하게 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번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데 이 책을 읽어가는 동안 막힘없이 읽어갈 수 있어 다행이라 생각된다. 또한 번역한 원문을 함께 실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한 배려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너무나 잘 알려진 역사 책 ‘삼국유사’이지만 그 내용을 다 읽어본 사람이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다. 이런 저런 통로로 학교에서 배운 것을 통해 잘 알려진 몇몇 이야기는 익숙하다. 이야기의 출처가 삼국유사였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알게 되는 흥미로움도 있다. 저자와 제목을 누구나 알지만 완독할 정도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경우가 많지 않음 또한 현실이 아닌가 싶다. 독서를 권장하는 다양한 단체에서 꼭 읽어야할 우리고전에 빼놓지 않고 선정하는 이유도 삼국유사가 가지는 의미를 고려한 선정일 것이다.
역사에 관심이 있고 이야기를 좋아하며 우리 민족이 걸어온 길에서 사람 사는 이야기를 통해 우리민족의 미래의 희망을 찾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생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