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누구도 늦지 않았다
누구에게나 후회하는 일이 있다고 한다. 그 일은 나이나 성별,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늘 늦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동양 사상에서 으뜸이라고도 하는 부모에 대한 마음이 그것이다. 가까이 있을 때, 생존해 있을 때는 알지 못하던 것이 부모가 돌아가신 후 그분들에 대한 마음으로 주체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효라고 한다. 부모의 몸을 빌어 세상에 태어난 자식이 그것도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을 일찍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에게나 그렇게 다가오는 것일까?
한때, 나 역시 ‘내리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을 합리화하기도 했다. 부모에게 받은 가없는 사랑을 자식에게 쏟아 붙는 것으로 위안 삼는 것이 그것이다. 그렇게 스스로를 위안 삼더라도 가시지 않은 마음속 무게는 도대체 뭐란 말인가? 태어나면서부터 안고 있는 원죄처럼 부모를 가슴에 담은 속내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모습들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꼭 돌아가신 후에야 다하지 못한 마음을 부여잡고 통곡할 수밖에 없는 것일까? 그렇다면 답은 없는 것일까?
인간의 이러한 마음을 헤집는 작품을 만난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라는 작품을 통해 애써 외면해왔던 마음속 불편함을 끄집어낼 수밖에 없다. 나는 지금 내 마음에 담긴 부모에 대한 애뜻함을 다 하고 있는 것인지...를 아프게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지하철 서울역에서 아버지의 손을 놓친 엄마가 사라진 것이 사건의 시작이었다. 잃어버린 엄마를 찾는 가족 구성원의 간절한 마음과 그들 가슴속에 자리하고 있는 엄마와의 새로운 만남을 절절하게 그려가고 있다. 잃어버린 것인지 잊어버린 것인지 일상에서 엄마의 존재는 크지 않았다. 굳이 엄마를 찾게 될 때는 무슨 일이든 일어나 엄마라는 존재가 필요할 때였다. 그런 딸, 아들이 엄마는 엄마로 세상에 나타나 그런 존재로 함께하는 것으로 생각했다는 말에 다 담긴 듯하다. 둘째딸의 고백 속에는 우리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며 살아왔던 허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가족 구성원 중 큰아들과 큰딸, 작은딸 그리고 아버지의 마음의 고백이 담겨 있다. 그들은 제 각각의 방식으로 엄마를 가슴에 담아두었고 그렇게 담긴 엄마라는 존재는 늘 그 자리에 그렇게 있는 것이 당연시되는 존재였다. 그런 존재가 사라진 후, 하나 둘 되살아나는 기억 속에 그들이 놓치고 지나왔던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드러난다. 이것은 그들뿐 아니다. 엄마의 태를 자르고 내어난 모든 인간이 놓치고 살았던 것을 대신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자식이든 남편이든 그들이 토해놓는 절망의 몸부림은 그나마 이해가 간다. 우리 모두의 문제이기 때문이리라. 엄마 자신이 떠나지 못한 이승의 마지막을 들르듯 둘째딸의 집을 찾아 막내에 대한 엄마의 또 다른 마음을 털어놓고 있다. 이 역시 상황이 변화된 이후 엄마 자신이 스스로를 찾는 과정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그 시점에만 머물고 있지 않는다. ‘그 남자’라는 존재를 드러내는 엄마는 엄마라는 존재를 벗어나 여인이며 한 인간으로써의 자신을 보이고 있다. 어느 누구도 심지어 그 남자에게 조차 드러낼 수 없었던 마음에서 엄마는 비로써 한 인간이 되는 것이다.
“소설의 완성은 독자의 몫입니다. 소설의 마침표는 작가가 찍는 것이 아니라, 소설이 독자의 마음에 어떤 무늬를 그리면서 찍혀진다고 생각합니다.”
작가가 이 말이 현실로 와 닿는 것이 나 혼자만의 감정은 아닐 것이다. 작품을 접하는 모든 사람뿐 아니라 이 순간 부모를 생각하는 사람 모두가 이야기 속 ‘너’가 되어 지금 당장 자식의 마음을 전할 그 어떤 것이든 찾는 것이 작품을 대한 사람이 이야기를 완성하는 것이리라. 작가와 독자 그리고 문학 작품 상호간의 교감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가 그것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하여, 누구나 후회하는 일일지라도 누구도 늦지 않은 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