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장의 광기 - 왜 경제가 성장할수록 삶은 피폐해지는가
마인하르트 미겔 지음, 이미옥 옮김 / 뜨인돌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
앞 만보고 달린다면 멈출 수 있을까? 인류의 지난 200년 역사는 뒤 돌아보지 않고 질주하는 시간이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멈추지 않은 성장만이 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은 산업혁명의 시작과 더불어 유럽사회에서 시작했지만 어느덧 세계 곳곳에서 앞만 보고 달리는 성장일변도의 정책을 시행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 덕분에 인류는 역사상 누려보지 못한 풍요를 누리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그 걸음을 멈추지 않고 있는 성장에 대한 기대치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지구자원의 유한성, 성장 위주의 정책이 가져온 한계와 더불어 성장 이후 인간 삶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 가져온 결과다. 성장 일변도의 정책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그 과정에서 인간의 소외, 부의 불균등을 비롯한 인간성 상실이라는 피할 수 없는 부작용을 함께 만들어 온 것이다.
멈출 줄 모르던 성장의 흐름은 속도가 느려지고 때론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가 하면 한 국가의 정체가 이웃국가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인해 세계경제가 파탄 날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런 위기의식의 시작은 성장을 주도 했던 경제적으로 선진 국가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미 누리고 있었던 물질적 풍요가 무너질지도 모른다는 점이 위기의식의 근본에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경제성장이 아니면 아무것도 소용없다는 우리. 도대체 얼마나 더 가져야 멈출 것인가? 이 지고의 경제성장이 멈춘다면, 무엇에 의지하여 살 것인가?’
이 책 ‘성장의 광기’는 바로 이러한 인류의 200년 역사를 신랄하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성장일변도의 정책으로 인해 인간의 삶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성장이라는 실체가 과언 무엇인지 등을 단호한 목소리로 어쩜 인정하기 싫은 마음을 파고들며 세심하게 살피고 있는 것이다.
인류의 진보는 무엇을 담보하고자 하는 걸음이었을까? 빈곤의 탈출, 생명의 연장, 물질적 풍요 등 이 모든 것은 욕망의 실현이라는 매개로 시작되었을 것이다. 인간의 이러한 욕망의 근저에는 ‘행복의 추구’라는 것이 자리 잡고 있을 것이다. 성장도 바로 인간이 행복한 삶을 살기위한 수단이었다. 하지만 수단이 목적으로 전도되면서 주인이 되는 인간이 사라져 버린 것이 아닌가 한다. 성장의 결과를 인간 행복추구와 밀접하게 연결해 주는 것이 ‘복지’라 할 수 있다.
‘사람에게 적합한 복지는 자연을 의식하면서 살고, 감각을 이용하고, 자기 자신과 이웃, 아이들, 가족, 친구를 위해 시간을 내는 것이다...... 자연, 예술, 아름다움, 배우는 것에서 얻는 기쁨이다.’ 이는 저자가 주장하는 복지정책의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밝혀주는 것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인간을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 빵이다. 하지만, 빵만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 없다는 것을 ‘성장’이라는 괴물을 키워오는 동안 잊어버린 것이 아닌가 한다. 인류가 이룩한 물질적 풍요는 지구라는 터전 위에서 가능했다. 이제 그렇게 이룬 성장의 열매를 인간과 자연에게 돌려주어 함께 살아갈 방도를 마련해야 하는 시급함을 제기하고 있다. 그 방도의 중심에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