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역사 - 중세에서 현대까지 살인으로 본 유럽의 풍경
피테르 스피렌부르그 지음, 홍선영 옮김 / 개마고원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인, 그것을 통해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태어난 모든 생명체는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하지만 일상이 죽음을 향한 여정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가는 생명체는 하나도 없을 것이다. 자연의 순리대로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이지만 그렇지 않고 타의에 의해 생명의 끈을 놓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타인에 의해 목숨을 잃게 되는 경우의 대부분은 전쟁이나, 살인이다. 스스로가 아닌 타의에 의해 죽음을 맞는 경우는 어떨까? 

인류의 역사에서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무수한 관심을 불러왔다. 각종 문학작품을 비롯하여 사회 제도적 장치에 의해서도 타의에 의한 죽음에 대해 언급한 것이 역사다. 그렇다면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은 어떤가? 방관하거나 방조하거나 때론 묵인 또는 조장하기도 한 사회적 환경은 그 시대의 권력에 의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죽음에 대한 사회적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책 ‘살인의 역사’는 수세기 동안 역사에서 벌어진 살인의 변천 과정에 대한 탐색이다. 살인에 대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을 중심으로 이를 시대 순으로 살피고 있다. 저자가 이 살인에 대해 주목하며 살피는 이야기의 중심은 중세시대의 복수극, 제도저적 장치를 마련하며 진행되어 온 살인의 불법화, 초기 유럽 사회에서 벌어졌던 남성들의 결투, 여성들 사이에서 벌어진 살인, 살인의 광기, 살인의 주변화 등이다. 국가의 중앙집권화와 문명화에 따른 살인의 변화를 함께 엮어내며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살인의 사회적 의미와 문화적 매락을 살펴보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인은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살인은 개인적 감정의 폭발 보다는 당시 사회 문화적 영향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살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개인적인 복수의 수단으로 상대방을 죽이던 중세는 이러한 살인은 큰 범죄 행위가 아니었다. 개인의 도덕심에 의존한 자책 그 이상을 넘어선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당시 사회적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살인이 중대범죄이며 사회적 지탄의 대상으로 된 것은 국가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이후의 일이다. 가치관의 변화,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의 확립 등에 의해 타인의 생명을 빼앗는 것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뀐 것이다. 

저자는 살인의 주요한 원인으로 ‘명예’를 들고 있다. 이는 중세시대 남성의 상징과도 같았다. 자신의 명예를 지키지 위한 살인은 묵인 되는 등 사회적 합의가 따랐다는 것이다. 이러한 명예는 개인보다 가문이나 집단 등의 명예가 더 소중한 것이었다. 저자가 예로 든 ‘로미오와 줄리엣’이 그 표본이다. 이러한 부분은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쌍둥이 빌딩에 대한 비행기 테러는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지만 그것을 저지른 집단에서 보면 집단의 명예를 지키지 위한 것이 아닌가 싶다. 

현대에 들어 살인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선진국으로 알려진 나라들에서 벌어지는 묻지마 식의 폭력과 살인의 증가는 저자가 살핀 점차적인 살인율의 감소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현상이다. 또한, 사회문화적 환경, 국가의 제도적 장치마련 등으로 감소되었던 살인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 것일까? 역사와 범죄의 접점에서 사회의 이면을 살인이라는 현상을 통해 탐색하고 있는 저자는 이를 개인의 안전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던의 사고방식과 연결시키며, 살인율이 증가하는 이유로는 세계화와 지역주의의 대두로 인한 민족국가의 상대적인 약화를 든다. 또한 국가의 행정력이 사라진 도시의 슬럼 지역에서 육체적 힘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명예 관념이 부활하면서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최근 복지국가로 사회적 보장제도가 아주 잘된 나라고 평가받는 노르웨이에서 희대의 살인 폭력이 벌어졌다. 뿐만 아니라 먼 이웃나라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는 뉴스를 통해 날마다 목숨을 잃을지도 모를 폭력 사건을 접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혹, 살인을 포함한 폭력에 대해 그것을 저지른 사람을 이 사회 문화가 그 길로 내 몰고 있지나 않는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인간의 본성을 지키고 개인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가 놓치고 있는 무엇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