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팔천 - 나도 사람이 되고 싶다
이상각 지음 / 서해문집 / 2011년 3월
평점 :
누구나 사람이라지만...
오래전 일이지만 영화 ‘왕의 남자’에서 너무 많은 것을 가슴에 담고 살지만 끝내 어쩌지 못하는 공길의 서글픈 눈빛을 잊지 못한다. 공길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은 어떤 곳이었을까? 또한 하늘의 도가 무엇이고 인간의 근본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며 선비의 정신을 구현하고자 학문의 길을 걸었던 조선의 선비들의 이중적인 모습도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달빛이 스며드는 창가에서 거문고 타며 취했던 마음과 재인들이 타는 거문고가 어떻게 다르며, 자신의 서가에 버젓이 올려놓고 애지중지 아끼던 도자기를 만들었던 장인들의 손길이 또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없다.
신분은 날 때부터 타고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부와 권력’에 대한 욕망이 만들어 낸 것이기에 하늘이 내린 그 어떤 것보다 넘어서기 어려운 벽이 아니었을까 싶다. ‘타고난 신분이란 원래부터 그런 것이다’고 말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인간의 이중성이 여지없이 드러나는 증거가 분명하다. 그렇기에 드문드문 나타나는 역사도 외면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늘 가슴을 아리게 한다. 그런 부류가 우리 역사 가까운 조선에서도 분명하게 있었다.
이상각의 ‘조선팔천’(朝鮮八賤)은 조선시대 인간취급도 받지 못했던 부류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노비(나도 사람이 되고 싶다), 기생(선녀인가 매화인가), 백정(언저리도 안 되는 것들), 광대(신나게 한번 놀아보세), 공장(자유를 대가로 차별을 얻다), 무당(병든 영혼을 해방시켜라), 승려(조선은 유교의 나라다), 상여꾼(망각의 강으로 인도하라) 등으로 천하게 여겼던 여덟 부류의 사람들에 대해 그들의 실상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이런 아이러니를 볼 때마다 의문은 그것이다. 유럽의 중세를 암흑의 시기라 했던 이유 중 하나가 종교에 의해 모든 것이 지배되었던 것도 있다. 사람이 사는 이유, 삶의 방식, 심지어 일상생활 어느 것 하나 자유롭지 못했다. 우리 조선에서도 그렇게 모든 삶을 저당 잡혔던 사람들이 바로 천민들이었고 그것이 가능했던 사회라는 점이다. 이 책에 나오는 미암일기의 유희춘이 보여준 모습은 그러한 아이러니를 확실하게 보여준 사례가 아닌가 싶다.
이 밖에도 말을 알아듣는 꽃으로 취급했건 기생은 바로 욕구를 채우고 싶지만 자신들의 가족은 보호하고자 했던 이기심의 발로가 기생이라는 제도를 굳건히 했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고려를 마감하게 했던 원이 중 하나인 불교의 승려들에 대한 조선의 정책은 그야말로 철퇴나 다름없다. 하늘에서 땅으로 곤두박질처진 그들의 삶은 극과 극을 경험했기에 더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또한 일제시대 형평사를 조직하고 자신들의 삶을 질을 높여나가면서도 나라를 위해 독립운동을 함께했던 백정들의 삶에서는 고개가 숙연해짐을 느낀다.
팔천(八賤)은 일반 백성들과 가장 가까이 살았고, 다양한 직업에서 활약했으며,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지만 철저히 무시되어 역사는 이들을 기록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사실을 밝히고 인식하여 역사를 새롭게 읽어가는 분명한 주제로 등장시켜야 한다는 저자의 시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이 책에는 인간의 인간에 대한 본질적 안타까움이 담겨 있다고 보인다. 삶을 영위하는데 꼭 필요하지만 자신을 하지 않고 그를 대신했던 사람들을 신분제도라는 사슬에 얽매어 자신들이 누리고 있던 부와 권력을 지켜나갔던 사회와 그 사회를 주도했던 사람들에 대한 반성의 의미도 있다.
이러한 팔천(八賤)에 대한 차별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로서는 상상도 못할 것이 분명할 것이다. 하지만 사회가 변하고 사람들이 변하면서 숨겨지고 왜곡된 다름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근본적으로 인간이 인간을 존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팔천의 시작을 본다면 나와 타자사이 벽을 높게 쌓고 소통을 거부하는 모습도 그에 못지않은 폐단을 낳을지도 모를 일이기에 경계해야할 일이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