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
오주석 지음 / 월간미술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그림은 읽는다는 것은 이런 것이다
누구나 자신이 보고 싶은 것을 본다. 살아가다 보면 이 말은 여러 가지 일에서 너무도 쉽게 확인된다. 하지만 나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해보면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관심 있는 그림 한 점을 눈앞에 두고서도 그 속에 담긴 사람의 진솔한 마음을 볼 수 있는 것은 그리 쉬운 게 아니라면 것을 그림에 관심을 가져본 사람이라면 다 알고 있다. 보고 싶은 것을 보고자 한다면 그 분야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자신 마음 속 울림과 어우러졌을 때 그때서야 비로소 가능해지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나에게 이런 생각을 확인하는 기회가 있었다. 예전부터 그림에 관심이 있었고 특히, 우리 그림이 주는 묘한 매력에 빠져 관련 서적을 하나 둘 모으다 보니 겹쳐지는 저자가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그 사람이 오주석이다. 오주석이라는 사람의 우리 그림에 대한 독특하고 감칠 맛 나는 그림 읽기를 보면서 그의 가슴이 얼마나 넓고 깊었을지 상상해 보곤 했다. 그의 우리 것, 우리 그림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탐구정신과 책임감을 넘어서는 무엇이 있다. 그 마음이 보여 그의 글을 보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오주석(吳柱錫)은 지금 볼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 동양사학을 고고미술사학을 공부한 그는 조선시대의 그림과 단원 김홍도에 대한 독보적인 연구와 해설을 내 놓았다. 그는 학교 강단에선 학자로써 머물지 않고 자신의 연구 성과를 보다 많은 사람과 나누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이다. 49세 젊은 나이에 요절한 그를 기리는 사람들의 마음이 모여 유작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이라는 책이 발간되었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에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중심이다. 누구나 알만한 한번쯤은 보거나 들었을 우리 옛 그림 27점을 그 만의 시각으로 해설하고 있다. 그가 선정한 그림에는 김홍도, 신윤복, 강세황, 김정희, 이인문, 정선, 강희안, 김명국 등 조선시대를 주름잡았던 당당한 화가들의 그림이 담겼다. 이러한 그림을 해석한다는 것은 워낙 유명한 그림이기에 전공자로써 부담스러운 점이 있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미 화가와 그림을 해설한 기존 학자와 전공자들의 글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주석의 그림 읽기는 전공자의 박식함이나 전문성을 넘어선 무엇이 있다. 그는 전공자로써의 전문지식에 우리 그림을 사랑하는 마음이 가득 담긴 가슴으로 읽는 따스함으로 그림을 읽어주고 있다. 그림을 읽어간다는 것은 그림을 그린 사람이 어떤 마음이었을지 짐작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그것으로부터 시작한 그의 그림 읽기는 그림 속 무엇 하나도 놓치는 법이 없다. 그림을 그리는 화가의 마음과 그 그림을 읽는 독자의 마음이 하나로 만나는 지점을 찾아내 감동을 바탕으로 하는 소통의 기회를 안겨주는 것이다. ‘감상은 영혼의 떨림으로 느끼는 행위인 만큼 마음 비우기가 중요하다’고 한 이유를 알만하다.

오주석은 ‘우리 옛 그림 안에는 우리가 지금 이 땅에 사는 이유, 그리고 우리인 까닭이 들어 있는데, 우리는 여전히 내가 사랑하는 우리그림 하나 대기가 힘들다’는 현실의 안타까움이 들어 있다. 그의 가슴과 눈을 통해 발견하는 우리 그림 매력이 한 층 더 살아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知之者 不如好之者 好知者 不如樂之者)’는 말의 진가를 그의 그림 읽기에서 확인한다. 그가 그토록 좋아했던 우리 그림에서 발견한 감동을 모든 이웃과 함께 나누고 싶었다던 마음이 너무도 쉽게 발견되기에 생전에 좋아했던 화가 김홍도의 ‘소림명월도(疏林明月圖) : 차고 맑은 가을, 성근 숲, 달이 뜬다.’을 읽어주는 오주석의 마음을 알 것도 같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은 그림을 읽는 것은 이런 것이다 의 모범답안 같다. 그림을 좋아하는 내 마음이 오주석의 그 마음을 따라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