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투명한 내 마음
베로니크 오발데 지음, 김남주 옮김 / 뮤진트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 수 없는 그 무엇, 내 마음이 향하는 곳
새로움은 낯선 느낌을 동반 한다. 그 낯선 느낌이 친근감이나 다정함 등 친숙한 느낌일 때와는 달리 거리감으로 다가올 때 불편함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이것은 좋고 나쁨과 같은 감정 이전의 무엇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을 문학 작품을 읽으며 느끼게 될 때는 가슴 한구석이 막혀 답답함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투명한 내 마음’은 내게 그런 경험을 강요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자주 접하지 못하는 프랑스 문학인 것도 한 가지 이유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 작품의 내용전개 방식이나 사용하는 언어에서 오는 것이 더 큰 것 같다. ‘그리고 투명한 내 마음’을 집필한 작가 베로니크 오발데는 프랑스 문학 권에서 주목받으며 장래가 촉망되는 작가라고 한다. 아마도 내가 살아가는 문화와 다른 무엇이 있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저자 베로니크 오발데는 ‘그리고 투명한 내 마음’에서 한 이야기를 통해 두 가지 다른 사람의 행보를 쫒아가게 만들고 있다. 하나는 아내의 죽음을 맞이하는 남편 폴이라고 불리는 ‘랜슬롯’과 다른 하나는 죽은 아내 ‘이리나’이다. 

랜슬롯은 일상적인 삶에 묻혀 삶의 의미를 축소시켜가는 듯 한 감정에 빠져 초등학교 교사인 전 부인에게 이별을 통보한다. 물론 새로운 여인 이리나를 만나고 난 후의 일이니 환영받지 못할 일이다. 새로운 여인의 ‘완벽한 구두’가 창문에서 그 밑을 지나던 앤슬롯의 머리에 떨어지는 것을 계기로 만나게 되지만 이것은 랜슬롯이 삶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마음을 실행에 옮기게 되는 기회로 작용할 뿐이다. 

어느 날 아내 이리나의 비행기 여행을 배웅한 후 집안에서 시간을 보내던 랜슬롯에게 전화로 통보된 아내 아리나의 죽음 소식은 충격적이지만 이 또한 지금까지 부부로 살아온 사람들에게 닥친 충격 그 이상은 아니었다. 하지만 죽은 아내의 행적이 하나 둘 밝혀지면서 겪게 되는 남편 축격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까지 이른다. 이것으로만 본다면 흔히 있는 부부 중 한사람의 외도에 대한 문제일 수 있다. 하지만 저자 베로니크 오발데는 그런 표면상의 이유를 넘어선 인간의 존재와 사랑에 대한 성찰로 이끌어 간다. 이것은 남편 랜슬롯의 입장이다. 

죽은 아내 아리나와 관련이 있는 인물들이 몇 등장한다. 그들은 남편 랜슬롯을 만나기 훨씬 이전부터 알고 지내면서 자신들의 가치관과 관련된 은밀한 투쟁을 함께 한다. 이리나에겐 그들의 존재가 무엇이었을까? 결혼 전이라면 이해가 될 수도 있는 육체적 관계를 포함한 그들의 모습은 결혼 후까지 이어지지만 그러한 사실로부터 남편을 철저히 차단시키고 있다. 아내 이리나가 꿈꾸던 삶은 무엇이었을까? 사라지는 동물에 대한 관심, 철저한 채식주의자의 인상을 강하게 심어주며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하며 살앗을 것 같은 이리나의 꿈은 결국 심장마비에 의한 돌연사로 마감하고 만다.

이 책의 표지 사진에는 하늘을 향해 두 팔 벌린 안 여인이 등장하고 있다. 윗 부분이 잘려나간 사진으로 그 여인의 꿈이 모두 표현되지는 못하지만 본문에 실린 같은 사진 속에서는 잘려나간 윗부분에 한 마리 새가 날고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 불안정한 세상에 떠나 훨훨 날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함께 살던 사람에 대해 도대체 뭘 알고 있는가?’ 이 질문에 주저 없이 상대방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답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 숨기고자 하는 사소한 무엇이 아니라 그 사람의 가슴에 담긴 꿈에 대해 서슴없이 이야기 나누며 살아가는 사람들 역시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삶에서 사랑과 우정이 값진 것은 분명하지만 때론 혼자 감당해야 할 무엇이 있는 것처럼 부부지만 결코 알 수 무엇도 존재할 것이다. 하여 온전히 투명한 내 마음은 존재하지 못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