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 - 18세기 조선의 문화투쟁
백승종 지음 / 푸른역사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세기 조선, 문화투쟁의 시기였다
누구나 자신이 보고자 하는 것을 본다. 자신을 둘러싼 주변을 살필 때,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좋아하는 책을 보면서도 그 속에서 자신의 구미에 맞는 것을 골라 밑줄을 긋거나 오랫동안 눈길을 주는 것이다. 인지상정이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이는 때론 아주 심각한 오류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 할 때 자신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가에 따라 그 인물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으로 분명하게 나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이러한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는 무엇을 보고자 함인지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몇 년 사이 조선시대에 대한 관심도가 높여지면서 자연스럽게 조선 왕들에 대한 평가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 정조 왕에 대한 관심 정도는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며 대표적으로 관심 받는 왕 중에 한명이다. 이렇게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가는데 한 몫 한 것이 텔레비전 드라마의 영향도 있겠지만 ‘조선 왕을 말하다’의 저자 이덕일의 역할도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덕일은 기록문헌에 묻혀 있었던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들에 대해 자신의 독특한 시각을 통해 대중들에게 주목받았다.

이덕일의 정조에 대한 평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정조 왕의 죽음에 대한 문제제기’와 ‘개혁군주’로 칭하는 것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정조 왕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책을 만난다. 백승종의 저작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은 정조 왕과 강이천이라는 인물을 둘러싼 이야기가 중심을 이루기에 접근하는 시각이 다르지만 이덕일의 정조 왕에 대한 평가와는 분명한 시각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렇듯 무엇을 보고자 하는가에 따라 인물에 대한 평가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 이 책은 저자 백승종이 서문에서 분명하게 밝히고 있듯 두 인물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룬다. 18세기 조선을 이끌었던 왕 ‘정조’와 그의 정치적 흐름에 반대한 인물로 옥사한 ‘강이천’을 주목하고 있다. 

저자는 18세기 영정조의 조선시대 후기는 정치, 철학, 학문, 종교 등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새로운 사조와 조선 내부의 오래된 갈등 등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상황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일어나는 시기였다고 규정한다. 이러한 일환으로 대두되는 것이 바로 예언서 ‘정감록’과 ‘천주교’의 급속도로 확산이라고 보고 있다.

저자는 18세기 조선 후기의 영, 정조 시대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인 문예부흥기 ‘르네상스’로 파악하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를 시작하고 있다. 정조 왕이 진정으로 혼란스러웠던 당시 사회를 개혁하고 싶었는가에 대해 말하며 어떤 학자보다 뛰어난 성리학적 가치관과 정치적 식견을 가진 군주였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정조 왕의 정치적 방향은 성리학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조선 사회에 대한 개혁이 아니라 그 기본 사회의 틀을 유지하는 방향이었다고 보고 있다. 그의 증거로 ‘문체반정’을 든다. 성리학적 기풍과 그에 호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지켜가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 것이 ‘패관소품’을 척결하는 정조의 ‘문체반정’이라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이 기존 체제를 개혁하고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열망의 한 가운데 있었던 인물 중 ‘강이천’姜彛天(1768~1801)이라는 사람에 주목하고 있다. 강이천은 강세황의 손자로 어려서부터 뛰어난 문학적 소질을 인정받았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정조 왕과도 여러 차례 대면했던 기대가 촉망되는 선비였다. 이 강이천이 연루된 역모사건이 일어나 유배에 이어 결국 옥사하게 되었다. 

이 강이천이 연루된 역모사건과 신유박해로 대표되는 천주교에 대한 다른 관점을 가진 정조 왕과 강이천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이 책의 중심 주제다. 저자는 정조 왕이 강이천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을 ‘문화투쟁’으로 규정지으며 분석한다. 기존체제를 유지 강화하려는 정조 왕 측과 새로운 사회를 열망하는 강이천을 비롯한 세력 사이에서 벌어진 ‘문화투쟁’이라는 것이다. 저자의 독특한 시각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강이천의 사건을 따라가다 보면 당시 조선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주목받지 못한 강이천이라는 인물과 정조 왕의 정치적 행보를 통해 18세기 조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의미다. 바로 한 시대를 놓고 정조와 강이천이 시대를 다르게 인식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의문점과 관심사를 밝혀 가는데 각종 기록물에 대한 검토를 세심하게 하고 있다. 독자들로 하여금 저자의 그런 관심이 분명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으로 다가오는 점이라고 할 것이다.

무엇을 보고 싶은가에 따라 달라지는 점에서 중심은 바로 그 ‘무엇’에 있다. 한 인물, 한 시대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만난다는 것은 자못 흥미롭다. 그것도 충분한 자료와 연구를 바탕으로 제기하는 이 새로운 시각은 역사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훌륭한 안내자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