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 현대문학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리움의 대상이기에 더 소중한 첫사랑
사람마다 세상을 보는 눈은 다르다. 힘든 세상살이에서 자신을 지탱해주는 것 역시 자신이 살아온 삶에 한 순간을 가슴에 담아두고 그 힘으로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다 보니 살만한 세상이라고 느끼는 것 또한 제각각의 기준이 있을 것이다. ‘내게 글을 쓴다는 건 내 고통의 일부를 독자에게 나누는 거예요. 내 고통을 글로 옮기면서 내가 조금씩 자유로워지고 가벼워지죠.’라고 했던 우리에게 친숙한 작가 박완서는 그 힘을 ‘문학’에서 찾았다고 했다. 전쟁과 미군정 이후 숨 가쁘게 달려온 사람들의 삶 속에 그들을 살게 했던 힘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부모세대가 그 험난했던 시간을 살아낸 근본적인 원동력을 찾아보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삶의 질 보다는 생존이 급했던 시간을 살아온 사람들이라고 하지만 문학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가슴 속에는 지금 우리의 가슴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는 한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만난다. 박완서의 ‘그 남자네 집’은 작가가 고희가 넘는 시간동안 가슴속에만 간직한 이야기를 세상과 공유하고자 한 것이다. 첫사랑에 대한 저자의 고백은 이성에 대한 ‘첫사랑’ 보다는 격동의 시대를 살았던 작가의 삶의 한 부분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 같다.

가족을 해체를 강요했던 전쟁 후 서울 한 동네에서 살아가는 주인공은 순전히 살아가는 위해 학교도 포기하고 미국부대에 취직한다. 사람들의 눈을 의식한 어머니의 눈치를 외면하면서도 그런 생활은 온 가족을 먹여 살리는 길이었다. 그 시기 그 남자를 알게 된다. 황폐한 풍경 속에서도 그 남자와의 만남은 일상에서 오는 답답함을 벗어나기에 충분했다. 몇 번의 이사를 하면서도 이어지는 그 남자와의 관계도 결혼이라는 현실에서 한발 뒤로 물러서고 만다. 미군부대에서 알게 된 은행원과 결혼하고 이제 유부녀가 된 주인공은 그 남자와의 만남에서 일상의 탈출구를 찾는다. 단지, 그것뿐인 것으로 보인다.

소설 ‘그 남자네 집’에는 두 남자의 집안 이야기가 중심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첫사랑의 그 남자와 결혼한 남자의 집안이다. 첫사랑 그 남자의 집안은 가족 일부가 월북하고 그 남자를 지키지 위해 남은 어머니와 공존하지 못하는 현실을 담아내고 있다. 상이군인이 되어 돌아온 그 남자와 어머니 사이의 관계는 일반적인 부모와 자식 사이의 어머니 정을 그려내는 것이 아닌가 한다. 또 한 집인 남편의 집안 역시 전쟁으로 가장과 남자들을 잃고 혼자 남은 아들이 전부인 집이다. 남편을 향한 시어머니의 모습도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두 어머니로 묘사되는 가정의 모습은 우리가 살아온 현대사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러한 어머니들의 모습은 50년대를 넘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우리들의 삶이다. 

전쟁 후 폐허가 된 것은 외형적인 모습뿐이 아니다. 전형적인 가부장 제도에서 살았던 사람들에게 남자의 부재는 삶의 중심을 무너뜨린 변화였다. 주인공이나, 언니, 춘희의 삶이 보여주듯 그동안 가정을 이끌어 오면서도 주변부에 머물렀던 여자가 이제는 그 중심에 선 계기가 된 것이다. 그런 시대를 온 몸으로 헤쳐 온 여성들의 삶은 어쩜 시린 가슴을 안고 살아온 우리의 어머니들을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박완서의 자전적 이야기라고 하는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그 남자에 대한 기억이 주인공에게 사랑일까? 하는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첫사랑을 말하는 것들은 많다. 사랑이 이뤄진다는 것에서 첫사랑은 모두 실패한 사랑으로 그려지기 일쑤다. 그 남자와의 첫사랑도 실패한 것으로 그려진다. ‘아무것도 안 그리워하면 무슨 재미로 살겠수’라는 춘희의 말에서 실패한 사랑이기에 고희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불쑥 불쑥 살아나 그 시간을 채워주었던 그리움이 아닐까 싶다.

책장 넘기기가 쉽지만은 않은 이 소설을 통해 한국 문학의 어머니라는 친숙한 이미지의 이제 고인이 된 작가 박완서를 그리워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