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자본주의가 온다 - 경제위기 이후 딜레마에 빠진 세계경제를 되살릴 윈윈 솔루션 워튼스쿨 경제경영총서 33
스튜어트 하트 지음, 정상호 옮김 / 럭스미디어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자본주의의 변화된 모습이 인류의 미래일까?
한국 문학의 거장 조정래의 ‘허수아비춤’은 현재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파헤친 소설이다. 그는 소설에서 자본과 권력이 집중된 사회적 강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강조한다. 가진 자에게 집중되는 것이 자본의 논리라면 그 논리에 의해 사회 경제적 부의 창출과 사회적 발전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간과하거나 일부러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과를 이룰 수 있는 배경에 작용하는 가지지 못한 자들의 역할이 축소 평가된 점을 올바로 평가하자는 이야기다. 그 점을 인정할 때 이후 사회적 문제를 해결해 가는 단초를 만들 수 있다고 보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모순을 극복해 가는데 대단히 시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고도성장을 이룩한 자본주의의 생산력은 인류사에서 가히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경제력을 바탕으로 이룩한 인류문명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하지만 그와 더불어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 또한 가져온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바로 부의 편중, 빈부의 격차, 인간의 도구화와 인간소외문제, 국제적 부의 불균등, 자원의 고갈 등이 그것이다.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총합은 인류가 먹고 살기에 충분하다고 한다. 하지만 굶어 죽어가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이는 대단한 모순이지만 자본주의라는 사회구조적으로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고자 새롭게 등장한 것이 ‘지속가능성’이며 이에 대해 정부, 기업, 지식인들의 관심이 모아졌다. 이는 한 국가 내에서의 문제는 이제 한 국가 차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과 인류 생존과 직결되는 지구환경의 문제와 결부되어 적극적인 대안 모색을 불러오게 한 것의 일환이라 보인다.

스튜어트 L. 하트의 ‘새로운 자본주의가 온다’는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출발하여 자본주의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해가는 적극적 대안의 한 축을 이룬다고 보여 진다.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경제위기를 비롯하여 국제적인 빈곤의 해결, 지구환경의 변화 등에 있어 문제제기로부터 현실적인 상황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그 대안에 대한 모색을 담고 있다. ‘자본주의는 갈림길에 서 있다.’는 의식의 출발이 모든 출발점이라고 보인다. 사회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직시하고 그 새로운 대안에 대한 모색인 것이다.

이 책의 장점은 실제 경험을 통해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책의 2부 ‘그린을 넘어서서’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창출해 가는 방글라데시 ‘마을 전화’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또한 다국적 기업이 현지에서 펼치는 사업의 방향성의 변화가 현지국가의 기본 경제를 살려가는 모습으로 바뀌어가고 있음도 확인시켜 준다. 이 모든 것은 그동안 자본주의의 파괴적이며 단속적인 모습이 ‘지속가능성’으로의 변화되어가는 변화를 말해주고 있다.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지구환경에서 인류의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지속가능성’으로 인식의 전환 곧 이윤추구가 전부였던 것에서 전 인류의 운명공동체의식으로의 확대를 말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며 지속가능성이 현실로 나타나기 위해 ‘대기업’, ‘다국적기업’이 바로 그 선두에 설 수 있다고 역설한다. 이들이 그동안 축적했던 자본, 기술 등을 바탕으로 인류 공동의 문제를 극복하는 기반으로 삼고자 하는 것이다.

국제적인 거대자본과 이를 대변했던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고통 받았던 경험이 있는 국가와 민족들의 입장에서 볼 때, 이미 세계의 중심에 선 선진국, 자본과 기술, 경험의 축적이 완료된 사회, 그 중심에 선 대기업과 다국적 기업이 그들로부터 철저하게 배제되어 왔던 사회를 바라보며 인류공동의 선을 실행하자는 제안이 실현가능성을 바탕으로 한 설득력을 가지려면 무엇이 전재되어야 할까? 우리사회의 현실을 직시해야할 필요가 여기에도 있음을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