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도노휴 지음, 유소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과의 단절 그리고 소통을 생각 한다 
갇힌다는 것은 대부분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타인에 의해 강제적으로 감금되는 상황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더불어 살아야 할 모든 것들과의 단절을 의미하기에 죽음의 또 다른 이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경험하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사고의 수준을 뛰어넘는 것이기에 상상으로만 공감한다는 것은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마치 소설과도 같은 이러한 이야기들이 사실로 벌어지고 있다. 차마 입에 담을 수도 없는 일들이 매일 벌어지지만 자신의 일이 아니기에 안타까운 마음을 느끼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는 것 역시 현실이다. 

룸 Room의 이야기 구성은 간단하다. 열아홉 살 한창 미래를 꿈꿀 나이의 소녀가 납치되어 7년을 감금 상태에서 생물학적 생존에 필요한 것들에 의지해 살아왔다. 7년이 흐르는 동안 첫아이의 유산 이후 태어난 아이와 엄마가 된 소녀가 헛간과도 같은 작은방이 세상의 전부인양 살아오다 탈출한다. 이후 자신을 가둔 사방의 벽을 탈출했지만 또 다른 벽에 부딪치며 엄마는 자살을 시도하지만 다섯 살 아들은 주춤거리며 세상을 향한 발걸음을 내딛는다. 

갇힌 방에서 태어나 갇힌 방이 세상의 전부였던 아이는 엄마와 낡은 텔레비전 그리고 다섯 권의 책을 통해 자신의 우주를 형성해 간다. 조금씩 사고의 폭이 넓고 깊어지면 이해하지 못하는 일들이 일어나지만 그것은 단지, 그냥 이상한 일일뿐이고 그 이상의 의미는 갖지 못한다. 하지만 엄마는 늘 밖의 세상으로 탈출을 꿈꾸며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지만 벽에 늘 좌절한다. 

‘방’은 각기 다른 두 사람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엄마에게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세상과의 강제적인 단절의 상징이지만 아들에게는 그것이 전부나 마찬가지인 온전한 세상이라는 차이가 있다. 또한 그 ‘방’은 그 속에서 무슨 일이 어떻게 벌어졌을 지를 상상하는 주변 사람들에게는 그저 상상 속 공간일지도 모른다. 이 소설 룸이 보여주는 강점은 바로 이 ‘방’에 대해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각자 사람들의 마음과 태도를 여과 없이 보여준다는 점이 아닐까 한다.

밖의 세상에 대한 사전 준비 없이 탈출한 두 사람, 엄마와 아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이를 잘 드러내고 있다고 보여 진다. 세상의 편견과 오해를 이겨내지 못하고 자살을 시도한 엄마와 세상의 많은 것들은 재방송 같았다는 아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결국 자신을 가두었던 공간이 ‘방’에서의 진정한 탈출, 이것은 그 ‘방’으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일 것이다. 그것을 어린 다섯 살의 아들이 엄마의 손을 이끌고 이뤄가고 있는 모습이다. 

룸은 2008년 오스트리아에서 실제 발생했던 감금 사건에서 모티프를 얻은 작품이다 라고 한다. 2010년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도 이에 못지않은 살벌한 풍경들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오는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도 많다. 하지만 사후 약방문에 그치고 마는 그러한 것들 보다는 비극적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사회구조적 대안의 마련뿐 아니라 피해자들의 마음을 따스하게 어루만지는 주변의 손길이 더 필요한 것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다.

다섯 살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이 자신이 갇혔던 ‘방’과 방 밖의 ‘세상’이 어쩌면 현대인이 군중 속에서 느끼는 고독과 다름 아닌 것인지 모르겠다. 누구나 자신만의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살아가지만 그것이 고독과 소외의 원인인지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