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암자로 가는 길 2 ㅣ 암자로 가는 길 2
정찬주 글,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0년 10월
평점 :
작은 암자에서 얻는 큰마음
현대인들의 삶을 각박하다고들 한다. 바쁜 일상에 묻혀 살아가다 보니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우리기보다는 몸과 마음이 자꾸 흔들리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인지 잠시 일상을 떠나 바쁜 마음에 쉼의 시간을 갖고자 하는 소망을 가지게 되는 것이리라. 그렇게 분주한 마음에 잠시나마 여유를 찾기 위해 나서는 곳이 대부분 자연의 한 자락이며 넉넉한 마음을 불러오는 한적한 공간이 대부분인 듯싶다.
현대인들이 그렇게 찾아가는 곳에 우리 민족의 역사와 맥을 함께해온 사찰이 있다. 자연 속에 머물러 있는 곳이며 절집이 주는 호젓한 분위기에 이끌리는 경우가 그것이 아닌가 한다. 사람들의 그런 행보에는 굳이 종교를 따질 필요성은 없어 보인다. 우리 민족과 울고 불며 오랫동안 함께해 온 곳이기에 우리들의 마음속 깊숙이 자리 잡은 감성과 통하는 무엇인가가 있어서 일 것이다.
‘암자로 가는 길’은 큰 사찰보다는 전국에 산재해 있으며 사람들의 마음을 다독여 온 조그마한 암자를 찾아 순례하는 마음으로 보고 듣고 깨달은 저자의 마음이 오롯하게 담겨있다. 암자란 본래 큰 사찰에 딸린 부속 사찰로 규모가 작은 절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지만 그곳 역시 자신의 내면에 있는 부처와 만나기 위해 구도의 삶을 살아가는 스님들의 수행 정진하는 도량이다. 규모가 작다보니 큰 사찰에서 느낄 수 없는 다른 무엇이 있기에 암자만을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제법 많은 모양이다.
이 책은 전작 ‘암자로 가는 길’에 다 담아내지 못한 이야기를 후속 작으로 발간한 책이다. 사계절에 맞는 테마로 구분한 서른 두 곳의 암자들이 독자가 그곳에 함께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생생한 화보와 함께 가고 오는 동안 마음으로 담아온 저자만의 깨달음을 담아 놓은 것이다. 그러한 암자는 모두 산중에 있다. 그것도 풍광 좋은 곳만을 골라 지은 듯 한결같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들이다. 이 책에 나오는 암자에 거주하는 스님들은 백척간두에 서서 깨달음을 향해 절치부심하는 모습이라기보다는 그들이 머무는 암자를 닮아서인지 오히려 넉넉하고 여유로우며 세상 모든 것들을 가슴으로 안은 듯 여여한 모습들이다. 그래서 속세의 번잡을 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주 찾거나 찾아가고 싶은 곳들일 것이다.
‘암자 경험이 단순히 일상적 삶에서 잠시 벗어나는 충동적 기행에 머무르지 않고 쾌락과 유희에서 삶의 위안을 찾는 세속의 관행을 진지하게 성찰하고 재고시키는 것’이라는 암자를 찾아다니는 저자의 마음도 속세를 살아가는 우리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나를 설계하고, 나를 성장시키며 나를 사색하고, 나를 성장시키는 암자 나들이가 바로 그것이다. 이런 마음에 암자를 찾는 사람들이 굳이 종교가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누구든 열린 마음으로 자연을 벗하고 그 속에서 자기 내면의 깊은 곳에서 울리는 소리에 귀 기우리려는 마음이라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기에 암자는 구도자의 수행공간으로 갇혀 있는 곳이 아닌 세상과 사람들에게 열린 공간이길 바래본다.
여러 곳의 암자를 방문하고 가는 곳마다 마음에 자신만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늘 찾아갈 수 있는 지척에 있고 찾을 때마다 넉넉한 마음을 누릴 수 있는 곳 한곳 정도 정해두고 자주 찾을 수 있다면 세상살이가 조금은 더 편안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머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