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왕을 말하다 - 이덕일 역사평설 ㅣ 조선 왕을 말하다 1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5월
평점 :
군주의 시대, 왕의 무엇을 봐야 하는가
사람은 대부분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을 보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본 것을 사실로 믿고 싶어 한다. 이 점이 사실에 대한 왜곡과 혼란스러움을 가져오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사건일 때는 파장이 별로 크지 않겠지만 그 범위가 넓어지면서부터는 감내하기 힘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는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에 벌어진 일이나 잘 알려진 사건이라도 그 진실에 접근했는가의 여부는 미지수일 때가 많다. 하물며 오랜 시간이 지난 역사적 사전에 대해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역사적 사건을 바라볼 때는 같은 누가 무엇을 보고자 함인가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사료에 접근이 쉽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평가는 역사연구가들의 눈으로 본 평가가 대부분이며 이 또한 그들의 눈으로 걸러진 사료와 그에 대한 평가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라 본다.
조선시대에 대한 나의 관심은 우선 정치적인 사건에 관련된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그에 덧붙여 조선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었다. 조선의 선비들로 그들이 지향했던 학문과 사상을 삶과 일치시키려 했던 흔적을 찾아보는 것이 그 중심에 있다. 그중 정치적 사건의 흥미로운 세계로 안내한 사람이 있다. 조선시대의 역사를 현대인에게 흥미롭게 알려주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역사 연구가 이덕일이 바로 그 사람이다. 그가 발간한 대부분의 저작물을 보면서 조선시대에 벌어졌던 정치적인 사건들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아지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저자 이덕일의 관심은 지금 우리가 사실로 알고 있는 역사적 사건이 얼마나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며 그 사건의 평가가 정당하게 평가 받고 있는가? 라는 의문에서 출발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가 발간한 일련의 책들은 ‘사도세자의 고백’,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조선 왕 독살사건’.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등 대부분 자극적인 제목으로 세간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고 또한 그 책들에서 제기하는 저자의 의문도 기존의 역사 평가에서 볼 수 없었던 흥미로움이 많았다. 그러한 영향으로 일약 스타 역사연구가의 한 사람이 되지 않았나 싶다.
‘조선 왕을 말하다’는 조선의 왕들 가운데 역사적인 고비에서 힘겹게 넘었던 왕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속내를 들려다보는 내용을 담아내고 있다. 이 책 역시 자자의 독특한 시각과 글을 이끌어가는 힘 있는 필력으로 단숨에 읽어갈 수 있었다. 조선 왕 26명 중 8명의 왕을 ‘악역을 자처한 임금들-태종과 세조’, ‘신하들에게 쫓겨난 임금들-연산군과 광해군’, ‘전란을 겪은 임금들-선조와 인조’, ‘절반만 성공한 임금-성종과 영조’ 등으로 구분하고 그들이 왕위에 오르는 과정부터 제위기간 중 벌어졌던 다양한 정치적 사건에 자임하거나 떠밀려서 했던 왕들의 역할을 밝히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사료를 충분히 살피며 자신의 의견 제시는 되도록이면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지만 이 책 역시 다른 저서들과 비슷하게 저자의 시각이 충분히 반영된 역사해석을 하고 있다고 본다. 그의 시각으로 볼 때 가장 안타까운 평을 받고 있는 왕은 사후 5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패역무도한 왕이라는 연산군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저자가 연산군을 성군이나 업적이 뛰어난 왕으로 평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봐 그렇게까지 혹독한 평을 들을만한 왕은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승리한 자의 눈으로 기록된 사료와 그에 대한 해석이라고 보고 있다. 즉 조선시대 왕들에 대한 평가는 사관의 시각과 당파적 관점이 크게 반영되어 있어, 이 두 가지 관점을 배제하지 않으면 역사의 진실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역사는 흥밋거리가 아니다. 흥미위주의 텔레비전 드라마의 지대한 영향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이 넘쳐나는 시대에 무엇이 역사를 보는 올바른 관점인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저자의 노력이 돋보인다고 생각된다. 이 책을 통해 역사 전문가가 아닌 일반 독자들로 하여금 당시 정국을 시끄럽게 했던 사건의 본질에 접근할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돌아보는 것은 현실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고 미래에 대한 대안을 만들어가는 과정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저자가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되도록 자제한다면서도 매 주제마다 ‘모든 군왕은 성군으로 기억되고 싶어 한다’, ‘역사는 때로 양자택일을 요구한다’, ‘절차의 투명성은 결과 못지않게 중요하다’, ‘명분과 현실의 괴리는 비극을 초래한다’, ‘현실에 참여해 활동하는 것 못지않게 때를 기다리는 것도 중요하다’ 등의 간략하게나마 강한 어조를 펼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정치의 일선은 늘 시끄럽기 마련이다. 오늘날 그것이 당략이나 개인적 치부의 목소리로 가득한 시끄러움이기에 국민들의 시선을 외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시끄러움에 시대정신을 올바로 반영하고 대의를 위한 목소리로 채워지기를 바란다면 과욕일까? 그렇더라도 이는 정치라는 기능의 올바른 역할에 기댈 수밖에 없는 국민들의 간절한 소망의 표현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