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바다, 그 넉넉한 품에 안기다
가끔 섬으로 간다. 섬이라고는 하지만 이젠 다리가 놓여 언제든 갈 수 있는 곳이다. 내가 가는 그 섬의 바다는 탁 트여 멀리 수평선이 보이는 광활한 미지의 세상이라기 보다는 육지와 섬들로 둘러싸여 마치 호수 같은 모습의 바다다. 제법 큰 강을 끼고 있어 육지의 온갖 시름을 다 받아주는 것 같으면서도 자신은 늘 평온을 유지하는 곳이다. 운 좋으면 석양의 붉게 타는 노을에 넋을 잃기도 하고, 달이 밝으면 하늘의 달과 바다의 뜬 달도 함께 보고 다양한 섬사람들의 생활의 터전을 안고 있는 모습도 보고 때론 낚시도 한다.

한창훈의 이 책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에 나오는 바다하고는 다른 느낌이지만 그 바다에 서면 바다보다 사람들이 먼저 보인다. 어느 바다나 마찬가지겠지만 힘들고 어려웠던 시절을 사람들을 거뜬하게 보듬어준 바다이기에 그럴 것이다. 한창훈이 나고 자란 바다와 지금 내가 그리는 바다는 겉모습에서 조금의 차이일 뿐 삶의 터전으로써의 바다는 같다. 

하지만 한창훈에게 바다의 기억은 아주어린 나이에서부터 시작하지만 내게 바다는 훌쩍 큰 어른으로써 대한 바다가 먼저다. 그렇기에 내가 본 바다는 소년의 눈으로 바라다본 바다의 느낌은 모를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이런 차이로 한창훈의 눈으로 본 바다가 새롭게 다가온 것이다.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에는 바다에서 나는 식재료의 이야기를 매개로 작가 자신의 삶과 섬사람들의 인생을 그리고 있다. 누구나 알고 좋아하는 생선에서부터 해초와 조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먹을거리를 다루고 있지만 그것보다는 역시 삶의 애환이 담긴 이야기가 더 가깝게 다가온다. 저자는 이 책에 등장하는 먹을거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 필요한 교본을 정약전의 자산어보로 삼고 있다. 하여 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생각과 정약전의 기록에 대해 할 말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조그마한 차이지만 정약전이 살던 당시 바다와 지금 한창훈이 사는 바다가 다름도 알고 또 같음도 알게 된다.

갈치, 삼치, 숭어, 문어, 고등어, 볼락, 모래미, 병어, 농어에 돌돔, 감성돔까지 가끔이지만 철따라 하는 바다낚시기에 생선에 대한 구별도 할 수 있지만 한창훈의 생계형 낚시에는 미치지 못하기에 훗날 바다낚시에서 혹 만나게 될지도 모를 주인공들에게 눈길이 가는 것은 나도 한창훈이 말하는 생계형 낚시에 가까운 사람인가 보다. 나와 딸아이의 밥상에 올릴 먹을거리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그렇다.

‘한 번도 못 먹어봤다는 말은 한 번도 못 가봤다는 말보다 더 불쌍하다.’ 와 ‘반드시 먹을 것만 낚는다. 낚은 것은 야무지게 먹는다.”는 말은 바다를 사랑하고 그곳에서 나는 먹을거리에 빠져 직접 잡거나 채취해 먹어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말일 것이다. 먹는 것에 애정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일지라도 처음 먹어본 그 맛을 잊지 못해 다시 발길을 바다로 돌리게 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자신이 빠져드는 것이 있을 것이다. 몸으로 직접 하지 못하는 조건이라면 마음만이라도 늘 그 근처를 멤 돌며 호시탐탐 노리는 그것 말이다. 산, 스포츠, 음악, 바다, 낚시 등 그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생각하고 또 하는 동안 그 사람은 늘 가슴이 넉넉하여 행복한 사람이 분명하다. 이 책을 통해 처음 만나는 한창훈도 그런 부류의 사람이라 생각 된다. 자신을 있게 해준 바다와 그곳에서의 삶을 기억하고 육지를 돌고 돌아 다시 찾아 섬에 안착한 사람의 눈으로 본 바다이기에 과거와 현재가 그리고 그리 밝은 것은 아니더라도 미래가 함께 있다. 

바다에서 태어났기에 바다르 조금 안다고 자부하던 저자는 ‘파도처럼 격정적이고, 낚시처럼 애타며, 활어처럼 펄떡거리는 인생의 맛’을 따스하게 때론 슬픈 눈으로 전하고 있다. 하여 한창훈은 삶에서도 문학에서도 어쩔 수 없이 바다와 함께 살아갈 사람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