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클린 풍자극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실존의 호텔로 가는 사람들
사람들이 직업이든 살아가는 환경이든 일상에서 벗어나는 일은 그리 흔하게 벌어지는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한 일이 생길 때에서야 일상에서 벗어나 다른 곳으로 생활의 근거지를 옮기게 되는 것이다. 이는 오랫동안 살아오는 동안 이미 자신에게 익숙한 환경이기에 편안함을 추구하는 인간의 근본 속성에 기인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렇기에 사람들이 삶의 근거지를 옮기는 것은 극단적인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브루클린 풍자극’은 평범한 일상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나서 거주지를 옮기면서부터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자기보고서와 같다. 네이선 글래스라는 오십대 후반의 남자가 폐암의 발병과 아내와의 이혼 그리고 평생직장이던 보험회사 영업사원이라는 일자리를 잃고 나서 ‘나는 조용히 죽을 만한 장소를 찾고 있었다.’ 생의 마지막을 보낼 곳으로 선택한 곳이 자신이 태어난 브루클린이다. 생을 마감하기 위해 선택한 곳에서의 삶은 어떤 마음으로 시작하게 될까?

사랑하는 딸은 무엇이든 몰두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 간섭처럼 들리는 오스터 마지막 언쟁으로 실망감을 느낀 네이선은 브루클린의 조용한 아파트에의 또 다른 일상을 시작한다. 거리의 식당에서 식사를 해결하고 식당 종업원에게 이성적인 관심을 갖기도 하고 헌책방에서 책을 보기도 하며 소일하게 된다. 그러다가 자주 가던 헌책방에서 조카 톰을 만나고 어릴 적 추억을 함께 나눈다. 톰으로부터 헌책방 사장 해리를 만나면서 이어지는 인연들과의 우발적으로 벌어지는 일들의 연속을 통해 조금씩 변해가는 주인공 네이선 글래스를 발견하게 된다.

조용히 죽을 만한 장소로 생각한 브루클린에서의 삶을 정리하는 과정을 네이선은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책’을 쓰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는 그동안 살아오며 자신이 겪었던 일상적인 추억에서 극적인 장면이나 아주 사소한 일까지 모두 기억나는 대로 써나가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브루클린에서의 일상도 그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책’ 내용에 들어갈 텍스트의 일종이기도 하다. 

브루클린에서의 일상을 꾸려가던 네이선과 톰 그리고 해리는 자신들의 현실을 벗어난 이상향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현실을 벗어난 곳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언제일지 모르지만 그곳으로 가기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실존의 모텔이라고 할 수 있는 그곳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그저 현실의 무게를 벗어날 수 있는 곳에 대한 동경이 아닌가 싶다.

우여곡절의 삶을 살아왔던 해리의 뜻하지 않은 죽음, 동성애의 대한 사회적 편견, 겉모습 만으로만 알게 되는 사람들, 마약과 섹스, 종교 갈등, 결혼과 이혼 등 우리의 삶에서 맞이하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주인공인 네이선이 주목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한 자기 성찰의 과정이 바로 브루클린에서의 삶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브루클린 풍자극’을 통해 저자는 인생의 절망의 순간에서 찾아오는 뜻하지 않은 일들로 인해 끝으로 생각했던 삶이 다시 시작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알게 한다. 뉴욕의 브루클린은 네이선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어느 곳이나 실존의 호텔이며 이상형이 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