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의 제국 가야 - 잊혀진 왕국 가야의 실체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되 살아나는 잊혀진 왕국 가야
우리가 지난 역사를 찾아보는 것은 자신의 존재의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지금 자신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존재가 아니고 지난 선조들의 역사가 고스란히 내 안에 남아있음을 확인하고 현재를 살아갈 근거를 찾는 것이며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확신을 얻고자 함일 것이다. 그렇게 찾아본 역사가 비록 아쉬움의 그늘이 많더라도 자신을 오늘에 우뚝 설 수 있는 근거이기에 따스한 가슴으로 안을 수 있는 것이리라.

어떤 역사학자는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했기에 역사 속에서 사라져 갔던 많은 사람들에 대한 기록은 사라지고 없거나 잘못 기록된 경우를 제법 많이 있음을 안다. 그렇더라도 살아남은 단편적인 역사의 편린을 찾아 하나하나 이어 붙이며 삶의 흔적을 찾아 오늘을 비출 거울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역사를 되살리는 작업 중 알려진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을 것이라 여겨지는 부분이 우리의 고대사의 한 축을 형성했던 ‘가야’라는 나라가 있었다. 이 책 ‘철의 제국 가야’는 잊혀진 왕국 가야의 실체를 살아있는 역사로 되살리는 의미를 갖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가야의 건국에서 패망까지 그동안 역사가들이 살피지 못했던 부분이나 논란이 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전면에 내세워 다시 밝히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 아닌가 한다. 그렇기에 이 책에 담고 있는 내용은 김수로에 의해 건국되어진 속내를 살피는 것으로부터 당시 동북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의 정치적 역학관계를 밝히고 청동기 이후 철기문화가 전파되는 과정을 통해 ‘가야의 성립’의 근거를 도출해 내고 있다.

가야지역의 토착세력에 흉노족 출신의 김수로 세력과 인도의 허황후 세력까지 공유된 3가지 문화가 한반도 남단이라는 지정학적 위치의 ‘가야’에서 융합되어 강력한 철기문화를 꽃피우게 되는 과정을 역사의 기록을 검토하며 밝혀 ‘가야’라는 제국의 위상을 살리고 있는 것이다.

이는 가야지역의 풍부한 자원에 철기 기술을 확보한 외부세력과 해양세력이 결부되어 동북아시아 중국과 일본을 잇는 철기문화의 해양거점이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당시 이러한 가야의 지위는 지금까지 알려진 ‘미성숙한 나라 가야’를 발달된 철기문화를 중심으로 현해탄의 핵심 역량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가야는 확고한 중앙집권적 왕권을 현성하지 못하고 변화해가는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힘을 가지지 못하면서 결국 신라에 의해 멸망하게 된다. 500여년이 넘는 시간동안 한반도 남부지역에 자리를 잡았고 우수한 철기문화를 꽃피웠던 가야가 우리의 역사에서 외면당해왔던 점은 무슨 사연이 있어서일까?

고대사 자료의 부족은 주어진 현실이지만 혹 패자라는 위치 때문에 잊혀진 역사라면 남아있는 단편적인 자료라도 충실하게 정리하여 당당히 살아있는 우리의 역사 속으로 가져와야 할 문제가 아닌가 한다. 앞으로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남은 과제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은 가야라는 나라에 대해 시작과 끝 그리고 그 후까지를 역사적 사료에 근거하여 실체를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저자의 말처럼 죽고 나서 더 활발하게 역사의 현장을 지켰던 가야의 후손들이 아직 우리 속에 함께하기에 잊혀진 왕국 가야는 당당한 모습으로 우리 역사 속에 살아나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