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씨 마을의 꿈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도 갈라놓지 못하는 욕심-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역사 이래 끊임없이 탐구되어 온 명제 중 하나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물음은 현실을 살아가는 복잡한 문제에 직면해 인간이 보여주는 감정의 표출에 따른 인간 스스로의 자기고백에서 출발한다고 본다. 목숨을 부지하기조차 힘든 극한의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무슨 일이든 하게 되는 사람도 있지만 그 귀한 목숨을 대의를 위해 내 놓는 경우도 있다.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렇게 인간의 본성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만드는 것은 현실보다는 가상의 현실을 다루는 문학작품 속에서 보다 실감 있게 경험하는 경우가 있다. 가상의 현실이지만 현실의 문제를 현실보다 더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에 문학작품은 많은 사람들의 감정을 건드리는 상황을 설정하곤 한다.

[딩씨 마을의 꿈]은 바로 그렇게 극한의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모습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현대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 옌롄커의 작품으로 중국내에서 출간 즉시 판매와 홍보가 전면 금지되었다고 한다. 작품이 당의 사상과 위상을 모독했다는 이유로 모두 제약을 받고 있기에 더 주목받는 작가 중 한명이다.

[당씨 마을의 꿈]은 절대적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조차 찾지 못하는 중국의 한 마을을 무대로 하고 있다. 피를 팔아 그 대가로 궁핍에서 벗어나라고 하는 상부의 지시에 전통적인 가치관에 머물고 있는 마을 사람들이 선 듯 나서지 않자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매혈을 강요한다. 한두 명씩 피를 판 대가로 집을 고치고 생활의 변화를 보이자 너도 나도 매혈에 나서고 그 과정에서 많은 마을 사람들이 열병 = 에이즈에 걸리게 된다. 피를 팔았던 사람, 피를 팔지 않았지만 감염된 사람 등 온 마음이 이 열병의 도가니에 뒤숭숭해지고 치료약도 없는 열병에 걸려 발열이 시작되고 이후 한두 명씩 죽음을 맞이하는 동안 매혈의 우두머리고 지목 받은 아버지의 아들이 마을 사람 누군가에 의해 독살되고 만다. 이 독살된 아이가 화자가 되어 줄거리를 이끌어간다.

목숨을 이어가기 위한 몸부림, 열병에 걸린 자와 걸리지 않은 자의 갈등 그들이 벌이는 반목과 갈등 속에 목숨보다 질긴 사람의 본성이 드러나고 있다. 사람 목숨보다 중한 것이 없다지만 극서도 말일뿐이고 마을 학교에서 집단생활은 그러한 본성이 더 자극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쌀을 훔치고, 돈을 훔칠 뿐 아니라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핑개지만 친척 간에 불륜도 벌인다. 이런 혼란 속에 할아버지가 있다. 평생 학교에서 생활하며 때론 아이들에게 선생님이기도 했던 할아버지의 합리적인 중재자 역할이 있기에 집단생활이 유지되다. 하지만 아들이 벌린 일로 열병이 번지게 되었다는 원죄를 안고 살아가기에 먹먹한 가슴으로 살아가며 결국 아들을 몽둥이라 죽이기까지 한다.

자자의 독특한 문체가 글맛을 더해가는 것이 있다. 같은 문장의 반복이 그것이다. 쓸슬함은 더 쓸쓸하게 먹먹한 가슴은 더 먹먹하게, 황량함 또한 그렇게 더해간다. 하지만 할아버지의 꿈을 빌어 펼쳐지는 세상은 현실과 큰 차이를 드러낸다. 잃어버린 꿈을 보여주기도 하고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한 예견을 나타내기도 하기에 한없이 황량한 속에 숨통을 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소설은 읽어가기 힘들 정도로 어둡고, 칙칙하며 인간의 근본정신의 혼돈성을 나타내고 있다. 저자는 이처럼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악한 상황을 있는 그대로 거칠 것 없이 내 보이고 있다. 그 속에는 미래에 대한 희망은 찾아볼 수도 없을 정도로 절망으로 이끌어간다. 딱 그만큼의 자리에서 저자의 행보는 멈추고 다음 몫은 온전히 독자에게 맡기고 있다. 그러기에 독자들은 읽는 동안 내내 먹먹한 가슴을 부여잡을 수밖에 없는지도 모른다.

“사랑과 위대한 인성, 생명의 연약함과 탐욕의 강대함, 오늘과 내일에 대한 기대와 인성의 가장 후미진 구석에 자리한 욕망과 꺼지지 않고 반짝이는 빛을 쓰고자 했다”는 저자의 고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머뭇거림이 있다. 죽음도 갈라놓지 못하는 인간의 욕심을 바라보는 독자의 가슴은 이미 처절한 아픔을 경험하고 난 이후다.

피를 팔아서라도 누리고 싶었던 행복은 갈등, 번민, 욕심, 죽음으로 텅 비어버린 마을과 함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한 의문만 남기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