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
신봉승 지음 / 청아출판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선비의 올곧은 정신이 그립다.
일찍이 사람이 살아가며 반드시 지켜야할 도리를 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는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이다. 시대가 변하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관이 변해왔지만 인간의 근본 도리에 대한 깊은 성찰은 그대로 인 것이다. 아니 오히려 시대가 복잡해지고 혼란스러워지면서 그러면 근본 물음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조선 500년의 역사를 지키고 민족의 정신을 이어올 수 있었던 근간에는 안으로는 엄준한 기준에 의해 자신을 성찰하고 밖으로는 대의를 실천하기 위해 목숨을 건 선비들의 의로운 삶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조선을 지탱했던 학문적 근간에는 성리학이라는 학문이 있었다. 나라의 법을 세우고 가정의 예를 지키며 자신의 내면을 세워가는 근간이 바로 이 성리학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묘 18현]은 바로 그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자리를 잡고 뿌리를 내려 한 나라의 근간을 이룬 사상적 기반이 되기까지 탁월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공자의 유학이 송나라 대에 들어 주자로부터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이(理)·기(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우주의 생성과 구조,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이 성리학의 체계이다. 

그러한 성리학을 바탕으로 뿌리를 내린 조선이기에 성리학에 대한 업적에 따라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위폐를 모시고 배양하는 문묘가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었다. 여기에 모셔진 우리나라 성현으로 18인이 있으며 그들은 신라 최치원를 시작으로 설총, 고려의 안향, 정몽주, 조선의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 등이다.

[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은 바로 이 사람들에 대해 그들의 태어남과 성장배경, 학문적 계보, 정치적 성과 그리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살피고 있다. 문묘에 배향된 이들의 공통점은 학문을 통해 자신을 닦고 이렇게 배운 뜻을 생활과 정치에 일치시키는 삶을 살아온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또한 그 올곧은 뜻을 실현하는 과정에 하나같이 직언을 멈추지 않았으며 이는 자신의 목숨을 내건 치열한 삶이었다는 것이다. 배우고 익힌 바를 실천에 옮겨 일신에 불이익이 올지라도 그것을 명예로 여긴 선비정신의 근간이다. 그 결과 사약으로 세상을 떠나거나 삭탈관직과 귀양으로 이어진 것이다.

조선의 성리학은 그 시발이 되는 중국에서 와는 다르게 조선에 와서 그 뿌리를 확고히 한 점이 무엇보다 큰 성과가 아닌가 싶다. 그 선두에 선 사람으로 조광조의 치(政治), 이황의 도(道學), 이이의 학문(學文), 김장생의 예(禮學), 송시열의 의리(義理)를 조선 선비의 이상으로 삼아 동방 5현이라 하였다. 절대 왕권이라는 왕조의 나라 조선이지만 이러한 선비의 정신이 함께 있었기에 종묘사직을 이어올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예로써 가르치면 나라가 평온해지고, 지식으로만 가르치면 나라가 어지러워진다.’ 18현 중 한분인 김장생의 말이다. 비록 현대의 시각으로 볼 때 이해하지 못하는 성리학의 내용이 있더라도 그 가르침을 삶과 직결 시켰던 정신만은 온전히 받아 안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온갖 부정과 비리로 점철된 현대 정치를 바라볼 때 혼란스럽기만 한 것이 사실이다. 이제 정치는 하늘의 뜻을 받아 백성의 안위를 살피는 것이 아닌 권력에 대한 욕심 그 이상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조선을 이끌어 왔던 선비들의 올곧은 선비정신이 무엇보다 그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