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송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6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재황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12월
평점 :
개 같은 종말
사회가 거대한 몸짓으로 커지고 발달할수록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규정하는 규범이나 제도는 많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만큼 제도적 장치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생활을 제한하거나 사람들 사이의 소통의 기반을 만들어 가는 것이리라. 이렇듯 사람들의 일상을 규정하는 여러 가지 사회규범이나 제도들은 자신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더라도 심리적 거리감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것들 중에서 사람의 생활을 대표적으로 제한하거나 구속하는 것으로는 ‘법’과 관련된 일이 아닌가 싶다. 사람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취지는 이해하나 현실에서 법과 관련된 일련의 경험들은 보호라기보다는 오히려 개인의 권리를 구속하는 것으로 나타나기에 심리적 거부감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프란츠 카프카의 [소송]이 있다. 프란츠 카프카의‘소송’은 ‘성’, ‘아메리카’와 더불어 고독의 삼부작으로 불린다고 한다. 아마도 카프카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주요관심사가 현대 사회 속 인간의 존재와 소외, 허무라는 것으로 볼 때 이해할만하다.
잘 나가는 은행의 중견간부 K는 30살이 되는 생일날 아침 법원의 감시인들로부터 체포된다. 누구에 의해 어떤 사건으로 소송이 제기되었는지도 모르고 당하는 황당한 사건으로 시작된다. 시작부터 오리무중인 이 소송에 대처해 가는 k는 별일 아닌 것으로 생각하면서도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직접적인 노력 보다는 변호사, 법원 대리인, 제조업자, 화가 등의 도움을 받고자 하지만 누구하나 자신과 관련된 정확한 이야기를 해 주는 사람이 없다.
그저 막연하게 K가 소송 당한 자신의 처지를 헤쳐 나가기 위해 길고 멀게 만 느껴지는 그 길을 제 삼자가 따라가는 듯 무관하게 그려가고 있다. K가 법정과 그 주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는 과정에 역시 그저 무기력하기만 하다. 무엇하나 명확한 것이 없고 모든 것은 법원과 소속되어 있다는 화가의 말처럼 자신을 둘러싼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길고 지루하게 그려지는 이 소송과 관련된 전 과정은 거대한 사회구조로 대표되는 법정과 관련되어 한 인간이 겪게 되는 사회적 소외를 극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듯 보인다. ‘모든 것을 제시하고 아무 것도 확증하지 않는 소설’이라고 평가했다는 알베르 카뮈의 표현이 아닐지라도 ‘문제는 있는데 그것이 무엇인지 확인 시켜주지 않은 것’이 작가 카프카의 의도라고 하지만 그렇기에 전반적으로 읽어가는 독자에게 답답함을 벗어버리지 못하게 한다.
‘소송’의 흐름은 사회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미 잘 짜여 진 각본에 의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굴러가는 모습처럼 보인다. 개인의 권리를 억압하는 사회적 구조, 그러한 구조에 편승해 개인의 이익을 얻고 유지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 틈바구니에서 소외된 개인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사회와 사람들의 소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그 무엇이 과연 있기나 한 것일까?
채석장 한 구석에서 가슴에 칼을 맞고 죽어가는 K의 ‘개 같은 종말’이라는 의미심장한 말은 카프카를 생각하는 동안 늘 함께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