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역사는 곧 사람이 중심이다.
순한 성품의 백의민족이라 일컬어지는 우리나라 사람들에 대한 역사적 인식은 그를 평가하는 시대와 바라보는 시각에 의해 달라지기 마련이다. 무엇을 중심에 놓고 무엇을 이해하여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사실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고 이를 오늘날의 시각에 의해 재해석하는 일이 역사를 바라보는 기본자세가 아닌가 한다.
그동안 역사 이야기의 중심인물이었던 조선시대 태조, 세종, 연산군, 광해군, 정조 등에서 이제 새로운 인물들이 조명 받고 있다. 이처럼 새롭게 조명 받는 역사인물 중 조선시대 인조와 대한제국의 고종이다. 각기 성격은 달라도 그들이 처한 상황은 이웃나라와 내부적 문제를 바라볼 때 조선의 운명을 가르는 사건이라는 비슷함이 있다.
우리 역사에서 외침에 의해 국권과 나라의 존립 자체가 흔들렸던 전쟁이 있었다. 병자호란, 임진왜란 등이 그것이며 이러한 전쟁 후 이를 극복하는 과정은 그야말로 지난한 시간과 노력에 의해 만들어져 왔다. [소현]은 병자호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비운의 주인공이라고 부르는 인조의 첫째 아들 소현 세자의 이야기다.
[소현]은 남한산성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후 볼모로 끌려가 청과 명나라의 대 격돌과정에 어버이의 나라 명이 멸망하는 과정을 고스란히 지켜보며 조선으로 돌아올 날을 손꼽아 기다렸던 소현 세자를 살려내고 있다. 명나라와 청나라의 전쟁 모습 뿐 아니라 막강한 청나라의 내부 권력 투쟁 과정, 두 나라 사이에 끼어 조선의 살길을 찾아야 하는 세자의 고뇌와 갈등이 섬세한 필치로 담겨 있다.
8년의 긴 세월이 흐르는 동안 훗날, 조선의 운명을 이끌어야 하는 세자의 고뇌, 아버지 인조와의 사이에 좁혀지지 않은 간극,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의 알듯 모를 듯 이어지는 감정 그 사이를 새로운 인물 흔과 막금, 만상이 단절의 사이를 이어주는 소통의 매개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적국에서 생활하지만 심기원, 심석경 부자로 대표되는 조선의 정치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현실을 담고 있다.
작가는 적국에서 자신이 나고 자란 나라에 대한 볼모로 잡혀 긴 시간을 보내야 했던 소현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고독과 외로움으로 그려내고 있다. 지극히 말을 아껴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고 그 목숨은 소현 세자 개인의 목숨이 아니라 조선이라는 나라의 운명이었다.
작가는 소현 세자의 볼모 생활과 환국, 좌의정 심기원과 회은군을 중심으로 한 역모 사건, 명과 청의 전쟁 등 굵직한 역사적 사실과 소현 세자, 봉림 대군, 심기원, 심석경 등의 실존 인물 사이로 흔, 막금, 만상의 이야기를 마치 씨실과 날실처럼 촘촘하게 엮어 냈다. 역사서 속 차가운 인물들이 작가의 펜에 의해 생생히 살아나 나라를 잃은 사람들의 애환을 뜨겁게 그려내고 있다.
“부국하고, 강병하리라. 조선이 그리하리라. 그리되기를 위하여 내가 기다리고 또 기다리리라. 절대로 그 기다림을 멈추지 않으리라. 그리하여 나의 모든 죄가 백성의 이름으로 사하여지리라. 아무것도, 결코 아무것도 잊지 않으리라.”
[소현]을 읽어가는 내내 몇 번인지도 모르게 책장을 넘기는 손이 멈추게 된다. 먹먹한 가슴을 쓰러 내리고 나서야 겨우 다음 장을 읽어갈 기운을 차리게 된다. 병자호란을 다룬 김훈의 남한산성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글의 흐름이다.
볼모의 신분 소현 세자를 오늘에 되 살려낸 작가는 이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했을까? “내가 보여주고자 한 것은 이 작은 나라의 비루함이 아니었다”라는 말의 깊이는 담고자 하는 사람의 가슴 깊이만큼씩 다가오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