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손 도장 - 2010 대표에세이
최민자 외 49인 지음 / 에세이스트사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나를 버리고 나를 세우는 길 

사람들에게 이미 친숙한 일상적인 삶의 모습이 그 속에 담겨 있기에 수필이라는 장르는 만만하게 다가온다. 이 말은 그 속에 담긴 내용이 너무 친숙하다는 말이지 결코 수필이라는 글쓰기가 만만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수필은 문학이라는 거대한 산을 지극히 평범하게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가서기 쉽게 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래서 글쓰기에 마음을 두고 있는 사람들이 조금은 편안한 마음으로 도전하는 분야가 수필일 것이다. 

수필이라는 글쓰기는 솔직하게 저자의 내면을 그대로 드러낼 수도 있고 어떠한 형식에도 구애받지 않아도 된다는 글쓰기의 열린 공간처럼 느껴져서 좋다. 하지만 만만해 보이는 수필이라는 글쓰기가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님을 글쓰기를 시도해본 사람이라면 충분히 알고 있다. 그렇더라도 도전해 보고 싶은 분야가 이 수필분야다. 언젠가 내 이름으로 글쓰기를 한다면 그 분야는 분명 수필이라는 장르에 포함되는 글쓰기일 것이다. 

에세이스트에서 발행한 수필모음집 [하느님의 손도장]은 격월간으로 발행되는 수필집에서 2009년에 발표된 수필들 중에서 선별해서 책으로 엮은 것이라고 한다. 베스트셀러 작가로 우리에게 친숙한 사람들이 아니기에 낯선 이름들이 대부분이다. 김종완을 비롯하여 50여분의 소중한 글을 다섯 분야로 나누어 싣고 있다. 대부분 일상에서 지극히 사소하게 벌어지는 사건을 모티브 삼아 솔직한 저자들의 속내를 나타내고 있다. 웃음이 번지는 이야기도 있고 자못 심각하게 고민하게 만드는 이야기 또는 급격히 변하는 시류에 적응하지 못해 아쉽지만 어쩌지 못하는 서글픔도 있다. 

하느님의 손도장에 실린 대부분 글들이 나이 지극히 든 사람들의 인생을 살아가며 얻은 귀중한 속 깊은 이야기이기에 머리가 끄덕여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멸치, 치사함, 수박, 피어싱, 하모니카, 아버지의 연인, 매화, 보너스 등 글을 시작하게 하는 매개체는 다양하다. 하지만 그 글들 속에 담겨진 사람의 따스함, 자신과 다른 사람을 향한 무한한 애정은 한결같다. 이처럼 수필은 일상에서 벌어지는 사소한 일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꾸밈없이 보여주기에 그 어떤 글보다 강한 힘을 내포하고 있는 듯하다. 글의 생명력이 바로 이런 것이리라. 

[수필은 오래된 나를 버리고 오늘의 나를 세우는 길] 수필이라는 글쓰기를 통해 결국 저자들이 바라는 것이 바로 자신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세워가는 길임을 나타내기에 가슴에 무거운 깊이로 다가온다. 이렇게 잔잔한 파문을 불러오는 글들의 자자에 대해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이 책에는 저자에 대한 정보가 없다. 다만, 글속에 묻혀있는 행간으로 통해 유추만 할뿐이다. 

'수필은 모든 글쓰기의 완성이다'라는 말이 있다. 글 속에 무엇을 담고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를 알게 하는 의미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