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핼리혜성과 신라의 왕위쟁탈전
서영교 지음 / 글항아리 / 2010년 4월
평점 :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를 접근 한다
자연의 일부로 살아온 인간의 삶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자연현상을 받아드리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인간의 길흉화복과 자연 현상을 연결시키는 것은 어쩜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일식, 혜성, 천둥, 장마나 가뭄, 지진 등에 대처하는 역사의 기록을 통해서 본 사람들의 모습이 바로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가뭄에 국왕이 기우제를 지내고, 자연 이변이 있으면 왕의 몸가짐을 올바로 하는 등 백성을 다스리는 일이 곧 하늘인 자연을 대신하는 소임이라는 왕권에 대한 의식이 전반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이는 자연현상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의 소산이라고만 치부하기엔 인간의 삶과 그 역사를 이해하는데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기에 시대상황을 비롯하여 사회적 변수를 면밀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
[핼리혜성과 신라의 왕위쟁탈전]은 바로 그러한 자연현상과 권력을 둘러싼 상황을 연결해 동북아 나라들의 힘의 역학관계와 신라의 권력이동에 대해 살피고 있다. 독특한 시각으로 접근하는 역사적 해석이 흥미롭다.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국문학적 자료로 알고 있는 혜성가, 도솔가 등이 탄생하게 된 사회 정치적 배경을 핼리혜성의 등장이라는 천문형상과 결부하여 해석하는 저자의 시각은 특출하다.
최근 1985년과 1986년 사이에 나타났던 핼리혜성은 76.03년을 주기로 해서 지구 둘레를 지나가는 혜성을 말한다. 핼리혜성은 이 혜성의 주기성을 밝힌 영국의 천문학자 핼리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한반도를 차지한 삼국 중에서도 가장 힘이 약했던 신라가 왕권을 강화하고 지켜나가는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짧은 시간동안 국왕이 3번이나 바뀌는 등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실마리를 핼리혜성의 등장과 결부해서 보여준다. 어지러운 정치상황,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곤란을 겪는 백성의 민심은 자연스럽게 왕권에 대한 도전 세력이 나타나는 결과로 이어진다. 저자는 민심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수습하기에는 당시 지배적인 종교에 의지하거나 이를 해결하려는 다분히 의도적인 차원에서 지어지고 불리어진 것이 이런 혜성가나 도솔가 등 향가라고 분석하고 있다.
고대에는 이런 자연현상이나 천문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전문적인 학자들이 있었다. 특히 중국의 천문관측은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였고 여타 동북아 나라들은 그런 중국의 천문역법에 영향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일찍이 신라도 중국에서 들여온 천문도와 천문관측 기술을 배워온 사람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비슷한 시기 이 천문현상이 관측되어 기록된 고문서를 찾아보면 금방 확인되는 것이다.
민애왕, 희강왕, 장보고의 죽음의 원흉으로 혜성의 출몰을 지적하고 있다. 저자는 당시 사회상황에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 중 일부인 천문현상을 극대화시킨 점이 있다고 본다. 이렇게 극단적인 원인 분석보다는 당시 사회정치적 요인과 천문형상이 결부되어 당시 사람들의 심리상황을 지배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기록은 아주 정직합니다”
본질을 모르면 현실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
저자가 말한 역사기록을 해석하는 문헌사학자의 자세를 곰곰이 생각해 보는 시간이다. 역사기록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역사에 대한 접근은 결국, 이 역사기록을 해석하는 일이 출발일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역사적 기록물을 바탕으로 이 책을 저술했다. 즉, 자연현상에 대한 일반적 추론이 아니라 한 가지 사실을 파악하는데 동북아시아 삼국의 고문서를 살펴 비교분석하는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이 책의 장점으로 생각되는 저자의 해박한 천문지식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의 제시 또한 책을 읽는 즐거움을 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책을 읽어가며 <혜성가>나 <도솔가>의 내용이 뭘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부록이나 책 내용에 그 원문을 실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