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후 삼국지 - 세 황후는 어떻게 근대 동아시아를 호령했는가
신명호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0년 4월
평점 :
동아시아 근대사 개론서를 만나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한마디로 격변의 시기였다. 내부적으로는 봉건적 절대왕권으로부터 변혁이 필요한 시대적 요구와 외부적으로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의해 문호를 개방해야 했고 그 진행과정은 새로운 정치제도의 출현과 맞물려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었다. 동북아아시 삼국 조선, 청, 일본은 각기 나라마다 속사정에 의해 변화가 요구되었지만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은 모두 달랐다. 외부 제국주의의 영향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던 일본, 두 차례의 전쟁을 통해 강제적으로 문호를 개방하게 되는 청나라 그리고 일본과 청나라의 두 틈바구니에서 극심한 혼란을 겪었던 조선이 있다.
이들 삼국은 격동기를 맞이하여 상징적 의미를 가지는 황후가 있었다. 조선의 명성황후 민씨, 청나라의 서태후, 일본의 하루코 황후가 그들이다. 비슷한 시대 황후의 자리에 올라 권력의 정점에 있었지만 그들이 살아간 삶은 다분히 차이가 나고 있다.
[황후 삼국지 : 세 황후는 어떻게 근대 동아시아를 호령했는가]는 바로 이들 삼국의 황후를 중심으로 다룬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근대사회가 해체되는 과정, 힘을 앞세운 제국주의 외세의 강압에서 사회의 변화를 이뤄나가는 권력의 핵심에 있었다는 공통점을 중심으로 그들 세 황후의 운명적인 삶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절대왕권에서 황후는 권력의 전면에 등장하는 것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서만 허용되는 상황이다. 어린 왕을 대신해서 수렴청정이 바로 그 예가 될 것이다. 하지만 왕이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막후에 황후의 존재가 드러나게 된다. 근대 격동기를 맞이한 동북아 삼국이 바로 그러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그렇다고 세 명의 황후들의 개인적인 일생만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국 내에서 일어나는 변혁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는 각국의 구체적 상황의 변화와 힘으로 밀어붙이며 개항을 요구하는 제국주의에 대한 대응모습 그리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내적 요인과 힘의 균형관계를 비롯하여 조선, 청나라, 일본 삼국의 역학관계를 상세하게 살피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세 명의 황후를 중심으로 살피고 있는 것이다.
청나라의 서태후는 노쇠한 왕조의 최후를 떠맡아야 했던 다분히 권력 지향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고독한 어머니이자 무서운 어머니인 어머니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권력에 대한 욕망을 실현했던 사람이다. 하지만 조선의 명성황후는 무너져 가는 왕권을 실리려는 몸부림 속에 처참한 최후를 맞이했으나 사후에 빛을 본 사람이다. 일본의 하루코 황후는 권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절대군주 천황의 충실한 아내 역할을 한 행복한 삶을 살았다.
저자 신명호 교수는 이 책을 통해 근대 동아시아의 역사를 조명하고 있다. 어느 한 가지 시각에 치우치지 않고 삼국의 근대사를 개괄하고 있어 동아시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황후를 모티브로 잡아 삼국의 근대 역사를 살피고 있다는 점이다.
한 사람의 일생을 평가할 때 그 근거로 삼는 것은 무엇일까? 소위 사회적 성공으로 일컬어지는 그 사람의 지위나 부, 권력 등에 의해 사람의 살아온 일생을 평가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하지만 그보다는 그 사람이 살아가는 동아 지켜가고자 했던 가치관이 삶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 뿐 아니라 높은 사회적 지위에서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삶을 살았던 사람이나 동일한 평가 기준이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