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을 둘러싼 벽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하루를 살며 스스로 만족하는 삶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이런 저런 이유로 인해 늘 자신이 처한 환경에 대해 불만을 가진다. 그도 어쩔 수 없음을 알면서도 스스로 마음의 무게를 더해만 가는 것이다. 그래서 날마다가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지루한 일상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여기에 그러한 일상에서 탈출한 사람이 있다. 처음 마음에는 스스로 나선 곤충채집의 길이었지만 외부적 억압에 의해 강제되어진 벽에 갇히게 된다. 갇힌 벽, 모래구덩이에서 탈출을 꿈꾸게 되는 사람의 이야기다. 두 번째 만나는 아베 코보의 소설 [모래의 여자]가 그것이다.

아베 코보의 [모래의 여자]는 교사로 생활하며 일상의 지루함을 벗어나기 위해 곤충에 관심을 갖던 주인공이 주변에 행선지도 말하지 않고 주요 관심 곤충이 모래에 사는 것을 알고 곤충채집을 위해 휴가를 떠난다. 사구가 발달한 한 마을에 도착한 남자는 관심의 대상인 곤충은 발견하지 못하고 하루 밤 지낼 곳을 찾아 마을 노인의 안내를 받게 된다. 사람이 사는 집보다 높은 모래언덕에 이상함을 느끼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그만 마음 사람들에 의해 그 모래 웅덩이 집에 갇히는 신세가 되고 만다. 혼자 살아가는 여자만 있는 집에 갇힌 남자는 그 여자와 집을 지키고 일상을 살지만 늘 탈출을 희망한다.

외부와의 단절, 그것도 스스로의 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외부의 강압에 의해 한순간 삶이 변하게 된 것이다. 갇혔다는 사실을 알고부터 스스로를 돌아보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두고 온 사람들, 가족, 직장 등 무미건조하고 지루하기만 한 그 전의 일상에 대한 회고는 닥친 현실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 남자는 탈출을 시도한다. 함께 거처하는 여자를 인질로 삼지만 좌절하고, 밧줄을 만들어 사구로부터 탈출하지만 실패하여 다시 모래 웅덩이에 던져진 신세로 돌아온다. 

3부로 구성된 이 모래의 여자는 1부는 사구에 갇힌 자신의 처지를 알게 되는 과정까지를 그리고 있다. 2부에선 본격적으로 사구 안에서 여자와 둘 만의 모래와, 자신 그리고 웅덩이 밖의 희망에 대한 싸움이 그려진다. 3부는 탈출에 실패한 후 현실을 받아들이는 남자의 달라진 마음이 나타나고 있다.

"납득이 안 갔어...... 어차피 인생이란 거 일일이 납득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지만, 저 생활과 이 생활이 있는데, 저쪽이 조금 낫게 보이기도 하고...... 이대로 살아간다면, 그래서 어쩔 거냐는 생각이 가장 견딜 수 없어...... 어떤 생활이든 해답이야 없을 게 뻔하지만...... 뭐 조금이라도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것이 많은 쪽이 왠지 좋을 듯한 기분이 들거든......"(본문 198~199페이지)

모래를 치우는 일상의 지극히 단순한 반복은 자신의 존재의 가치를 확인하는 과정인지 모르겠다. 강제적인 외부와 단절이 주는 참담함에 할 수 있는 것은 단순노동의 반복, 내일을 내다볼 희망은 아애 찾아볼 수 없는 현실에서 깨달게 되는 자기 존재에 대한 성찰이다. 우연한 기회에 발견한 물을 수집할 수 있는 유수장치는 갇힌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과 탈출을 꿈꿨던 모래 웅덩이 너머 세상과 소통하는 희망을 주는 계기로 작용한다. 

모래의 여자는 자신이 어린 시절 살았던 만주의 사막에서의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모래가 가지는 물리학적 특성을 이렇게 자세하게 그려낼 수 있는지 모르겠다. 또한 억압된 환경에 처한 한 남자의 심리적 변화를 상세하고도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는 점은 단연 돋보인다. 마치 살아 있는 듯 끊임없이 움직이는 모래를 통해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갇힌 웅덩이에서 함께 생활을 강요받았던 여자의 낙태로 인한 공백으로 외부와 단절을 끝낼 수 있는 통로인 치워지지 않은 사다리, 그 사다리를 올라선 남자의 선택을 머뭇거림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