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속인 위대한 거짓말 - 역사에 없는 역사, 그 치명적 진실
윌리엄 위어 지음, 임용한.강영주 옮김 / 타임북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누구의 무엇을 위한 왜곡인가?
문명 이래 수많은 일들이 일어났다. 그 많은 사건들 중에서 특정한 사람들에 의해 선택되고 기록된 사건들은 그리 많지 않다. 그나마 기록된 사건들마저도 특정한 사람들의 이해관계와 떨어질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것이 역사기록이라고 본다면 무엇이 진실을 담고 있는 것인지 역시 새로운 시각, 새로운 이해관계에 의해 왜곡되고 굴절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의도되지 않은 오류라면 몰라도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의도된 왜곡이라면 그 기록이 미치는 파장은 실로 크리라 본다.

최근 역사적 사실에 대해 그 해석을 달리하는 역사학자의 저서를 접하고 그로부터 오는 혼란스러움을 겪게 되었다. 비교적 가까운 조선의 역사, 그것도 실록에 분명 기록되어진 사실을 해석하는 차이의 극과 극을 보는 한 사람으로 무엇이 올바른 시각인지 혼란스럽기만 했다. 기록을 검토하고 해석하는 기준이 역사학자의 가치관에 크게 의존한가고 전재했을 때 역사학자는 도덕성과 객관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리라.

[역사를 속인 위대한 거짓말]은 바로 이렇게 특정한 사람들이 의도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왜곡한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책은 6가지의 분야로 나누어진 15가지의 역사적 사건에 대해 왜곡되어 전해지는 이야기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저자는 거짓이라고 하는 명제에 대해서 남겨진 기록을 비교 검토하고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며 섬세하게 추적하는 이야기가 매우 흥미롭게 전개된다.

이 책은 고대로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따르고 있다. <역사가 가르친 첫 번째 거짓>이라는 분류에서 ‘로마가 불타는 동안 네로 황제는 바이올린을 켰을까?’라는 의문에 대해 밝혀나간다. 폭군 ‘네로’라는 로마 황제의 이미지에 대해 잘못 전해지고 있는 몇몇 요소들은 그럴 수 있겠다는 공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해설을 하고 있다. 특히 ‘그래도 아직 지구는 돈다’라고 말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갈릴레오 편의 이야기는 시대를 관통하는 당시의 사상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문이 제기되는 역사적 사건에 대해 설명하는 이 책에서 관심이가는 부분은 비교적 현대의 사건인 <역사를 되풀이하는 오늘날의 거짓>이라는 분류에 속한 ‘필리핀 폭동은 미개한 원주민의 반란이었다?’와 ‘불굴의 땅 아프가니스탄에는 국경이 없다?’ 편이다. 이는 현재에도 세계적인 주목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며 첨예한 이해관계에 의해 열강들의 각축장이기에 그 의미는 달리 다가온다.

[역사를 속인 위대한 거짓말]에는 실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왜곡된 사실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왜곡된 의문이든 그 사건의 진실에 속한 이야기든 새롭게 읽히는 재미도 있다. 더욱 더 흥미로운 것은 책을 구성하는 다양한 그림이다. 잘 알지 못하는 이야기를 그림을 통해 유추할 수 있게 해주며 당시 시대의 모습 또한 상상할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역사상의 사실은 순수한 형식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또 존재할 수도 없다. 즉 언제나 기록자의 마음을 통해서 굴절해 오는 것이다.’라는 E H 카의 명제를 머리말에 올려놓은 저자의 의도에 공감이 가는 면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