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 수상작
박솔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어떤 작가의 작품은 첫 장부터 호기심으로 함께하는 동안 내내 깊은 공감을 불러오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떤 작품의 경우는 읽어가는 동안 도무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이야기의 흐름 파악에도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그런 작품을 만나게 되면 일단 읽던 책장을 덮고 한순 돌릴 수밖에 없다. 호흡을 더 느리게 가져가며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는 절차를 가길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을]은 그렇게 낯설게 다가왔다.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주목을 받고 있는 신예작가 박솔뫼의 [을]은 제목에서부터 알지 못하는 벽을 느끼게 만들고 있다. 단지 ‘젊은 작가의 새로운 시도라 그럴 것이다’라는 위안을 삼아보지만 쉽지 않다. 전통적으로 생각되어지는 인간의 관계와 소통에 대한 현 시대를 흐르는 새로운 문제제기가 그렇게 낯설게 다가오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 [을]은 막연하게 ‘어디쯤일까’라는 생각이 머물 순간도 없이 등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출발한다. 다섯 젊은이 을, 민주, 프레니, 주이, 씨안은 어떤 이국의 장기 투숙자를 위한 호텔에서 생활하고 있다. 을은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민주는 을의 열 살이나 어린 유일한 친구다. 프레니와 주이는 자신들의 삶의 방식을 인정하지 않은 곳으로 떠나 이곳에 머물고 있는 사촌지간이면서 연인이다. 씨안 역시 여행자 신분으로 이 호텔의 하우스키퍼로 일하며 일상을 보낸다. 을과 민주, 프레니와 주이 둘 사이를 가만히 지켜보기도 하고 개입하기도 하면서 관계의 변화를 이끌어간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심리적 상태를 대표할 수 있는 말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홀로 독립적인 존재 상태로 살 수 없기에 관계와 소통의 중요성이 날로 대두되는 사회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며 그 전통적인 인간의 관계에 변화가 보이기 시작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고 본다. 을에 등장하는 젊은 사람들의 모습에서 바로 그러한 인간의 관계가 보인다. 이것이 국적도, 성별도, 인종도, 직업도, 인생의 목표도 중요하지 않은 다섯 남녀의 일상이 스냅사진이 한 장 한 장 흘러가듯 무심하게 보여주고 있는 이 소설이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가 아닐까 한다.

“어디로 가는지 모르면 아무데나 갈 수 있잖아” 우리는 어디로 향하고 있는 것일까?

살아온 시간의 흐름에서 특정한 부분을 잘라 낯선 곳으로 옮겨 놓는다면 이 소설과 같을까? 자신을 둘러싼 갖가지 조건에 의해 규정받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드린 삶에 대해 한번쯤 의문을 가지게 만들고 있다. 1+1의 둘 사이의 안정적인 관계에 새로운 +1이 등장함으로써 틀어지는 소통을 통해 이것을 감당해야할 각자들의 심리적 상황은 작가가 주목하는 사람간의 소통에 대한 문제 제기라 생각된다. ‘국적도, 성별도, 인종도, 직업도, 인생의 목표도 중요하지 않다’는 인상은 그 상황이 옳다는 것이 아니라 2와 3 사이의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통해 오히려 관계와 소통에 대한 문제제기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