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루덴스 - 놀이하는 인간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의 문화현상을 바라보는 시각
유사 이래 인간에 대해 여타 다른 동물들과의 특징을 구분하고 규정하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직립보행이나 생각하는 존재 등이다. 이는 인간을 다른 무엇과 구별하려는 것 뿐 아니라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얻는 과정이었다.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역시 인간이 살아오며 형성한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그것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하위징아는 인간이 형성한 문화의 기원을 놀이에 둔다. 역사 이래 인간에 의해 형성된 문화의 총체인 예술, 종교, 철학, 시 등의 기원을 놀이라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호모 루덴스] 이 책에는 놀이는 문화적 현상이다 : 그 본질과 의미, 언어에서 발견되는 놀이 개념, 놀이와 경기는 어떻게 문화의 기능을 발휘하나, 놀이와 법률, 놀이와 전쟁, 인식(지식)의 수단이 되는 놀이, 놀이와 시, 신화 창조의 요소들, 철학에서 발견되는 놀이 형태, 예술에서 발견되는 놀이 형태, 놀이의 관점으로 살펴본 서양 문명, 현대 문명에서 발견되는 놀이 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저자 하위징아가 놀이를 통해 인간의 제반 문화현상을 파악하는 모든 것을 망라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위징아는 이 책을 쓴 목적을 밝히며 ‘여러 문화 현상들 중에서 놀이가 차지하는 지위를 논하려는 것이 아니라, 문화가 어느 정도까지 놀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탐구하려는 것이고, 놀이의 개념을 문화의 개념과 통합시키려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럼 하위징아가 파악한 놀이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우선 하위징아는 ‘놀이’를 특정 시간과 공간 내에서 벌어지는 몰입행위이고, 자유롭게 받아들여진 규칙을 따르되 그 규칙의 적용은 엄격하다. 놀이는 그 자체의 목적이 있고 일상생활과는 다른 긴장이나 즐거움, 의식을 수반한다. 질서를 창조하고 그 다음에는 스스로 하나의 질서가 된다. 경쟁적 요소, 즉 남보다 뛰어나려는 충동이 강하다. 신성한 의례에서 출발하여 축제를 거치는 동안 집단의 안녕과 복지에 봉사한다. 저자는 놀이가 법, 문학, 예술, 종교, 철학을 탄생시키는 데 깊은 영향을 끼쳤다고 역설한다.

인간이 '놀이'라고 규정하는 특정한 행위는 인간만이 가지는 행동은 아니다. 여타 다른 동물들도 놀이라는 특정한 행동을 보인다. 하지만 그것이 하위징아가 규정한 놀이의 특징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문화가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놀이라는 행동이 있었으며 그 놀이가 일정한 시간이 흐르는 동안 만들어 낸 자체의 과정을 통해 문화현상으로 발전했다고 파악한다. 심지어 놀이는 삶보다 진지하며 놀이하는 과정이 인간 문명을 빛나게 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일상적으로 전개되는 놀이가 문화의 한 형태가 아니라 문화 그 자체가 놀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하위징아의 문화현상에 대한 분석의 시각은 인간이 만들어 온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호모 루덴스는 취미활동이나 오락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하는 모든 행동이 문화와 구별되어 지는 것이 아니기에 놀이로 파악하는 문화는 현대인들의 생활 모습을 관심 있게 바라볼 수 있게 하며 그러한 행동이 곧 스스로 문화를 창조하는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행위임을 자각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