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루몽 3
조설근 외 지음, 안의운 외 옮김 / 청계(휴먼필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문학에 담아내는 마음
홍루몽의 이야기가 진행 될수록 언제 어떤 사건을 등장시켜 주인공들의 심리적 상태의 변화를 그려내나 하는 것이다. 긴 호흡으로 읽어야 할 장편이기에 책을 대하는 마음에 느긋함이 있지 않고서는 따라가기 힘든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3권 역시 주 무대는 가씨 집안으로 중심인물인 가보옥, 임대옥, 설보채가 중심에서 그곳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사건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들의 성격이 조금씩 명료하게 들어나고 있고 그들 간의 힘의 역학관계가 미묘하게 그려진다. 또한 새로운 사람들의 등장과 사라짐이 반복되어 그려지며 소설에 힘을 보테고 있다.

영국부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희봉의 남편 가련의 외도를 눈감아주며 위기에서 구해주는 평아나 가보옥의 일거수일투족을 보살피며 바른길로 가기를 늘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보는 습인의 모습도 있지만 조그마한 이권이나 질투심에 의해 목숨까지 잃게 되는 경우도 많다.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기에 사람 관계에 얽힌 이해관계는 늘 사건을 불러오게 마련이다. 홍루몽에서도 마찬가지다. 가보옥의 아버지 가정의 소실 조씨나 그의 아들이 가환이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과정에서 희봉이나 가보옥에게 복수하는 모습이 바로 그것이다.

3권에서 드디어 주인공 가보옥과 임대옥의 사랑이 시작됨을 알려주고 있다. 서로 마음에 있지만 애써 다른 심정을 내보이며 늘 다투는 모습은 이제 사랑을 시작하는 청춘의 마음을 담았다고도 보이지만 지루하게 이끌어 가는 듯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설보채와의 관계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가보옥의 여전한 투정이나 임대옥의 소심한 성격 사이에 늘 충돌이 일어나고 그들을 바라보는 보채는 한발 물러서 관조하는 입장이다. 이들의 본격적인 사랑이야기는 언제쯤에나 전면에 등장할지도 궁금하다.

홍루몽은 권문세도가의 생활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일상에서 잔치가 빠지지 않고 그 잔치에서 매번 연극을 즐기며 시문을 외우고 작성하는 것들이 일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에 가씨 집안의 자제가 겪어야 했던 심리적 부담감은 가문과 조상을 생각하며 늘 못마땅해 아버지 가정과 가보옥의 모습으로 어쩜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중국의 고전이나 우리나라의 고전 속에는 시와 그림들이 늘 등장한다. 특히 사람의 마음을 담고 그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시의 용도가 놀랍게 활용되고 있다. 홍루몽 역시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이렇게 시를 짓고 외우는 속에 사람 마음을 은근하게 담아내는 매력이 좋아 보인다. 
4권엔 무엇을 담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