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와 아슈카르, 중동을 이야기하다 - 중동 분쟁과 미국 대외정책의 위험한 관계
아브람 노엄 촘스키 외 지음, 강주헌 옮김 / 사계절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중동이라는 말과 함께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한쪽 다리가 없는 아이가 목발을 집고 똑바로 쳐다보는 깊은 눈망울의 사진이다. 중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까지 대변하는 이미지가 아닌가 싶다. 유구하고 찬란한 동양문화의 한 축을 구성했던 중동은 내게 바로 그런 이미지로 대변되는 이유가 있다. 중동과 이슬람 문화를 제대로 접하기도 전에 미제국주의자들의 패권적인 도발의 의도가 고스란히 담긴 각종 영화가 보여주는 이미지가 굳어버린 것이다. 결코 미국과 뗄 수 없는 한반도에 살면서 의도되어지기도 했고 또는 무의식 중에 얻게 된 내가 갖는 부정적 스펙트럼일 것이다.

중동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보는 것은 비단 중동이 안고 있는 현실의 문제가 안타깝다는 생각 이전에 우리가 겪었던 현대사의 문제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미국이 전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촘스키와 아슈카르 중동을 이야기하다]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이런 중동의 이야기를 두 석학이 대담 형식을 펼치고 있다. 그래서 중요한 현안에 대한 생동감 있는 이야기가 기대되는 책이다.
대담을 나누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이야기가 달라진다. 두 사람은 어떤 사람들인가? 먼저 노암 촘스키는 세계적인 언어학자, 작가, 정치평론가, 사회운동가라고 한다. 오늘날 미국의 양심적인 지식인의 대표주자라 해도 손색이 없는 사람이다. 그는 오늘날 단순히 한명의 언어학자일 뿐만 아니라 숱한 정치적 사건에 대해 발언하며 세계 여론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실천적 지식인의 표상이 되고 있다. 저서로[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숙명의 트라이앵글],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등이 있다.
또 한사람인 질베르 아슈카르는 레바논계 프랑스 지식인으로 작가이자 사회주의자이며 반전운동가이다. 1983년 프랑스로 이주하기 전까지 레바논에서 살았다. 2007년부터 런던대학에서 중동-아프리카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있다. 유럽에서 중동문제 전문가로서 주요 저서로는 [야만의 충돌], [뜨거운 동양: 마르크스주의자의 눈에 비친 중동], [33일 간의 전쟁] 등 현대 정치에 관련한 책을 여러 권 출간했다.
촘스키와 아슈카르 이 두 사람의 대담에 관심이 가는 것이 바로 현실 정치에 무관하지 않은 현대의 대표 지식인이라는 점이다.

테러와 음모, 근본주의와 민주주의, 미국의 중동 정책을 좌우하는 요인들,‘위대한 중동’에서의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 에필로그: 6개월 후, 무엇이 달라졌나?로 구성된 이 책에는 익히 알고 있는 이야기들을 전한다.
9.11테러보다 훨씬 앞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시작된 문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 까지 우선적으로 중동문제의 중점과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게 한다.

국제적으로 테러라면 무엇이든 용서할 수 없다는 단호한 태도를 취하는 미국의 양면성이 무엇보다 잘 드러나고 있다. 자국의 법률에도 어긋나는 행위를 서슴치 않고 자행하는 미국의 본심이 무엇인지도 알게 한다.
또한 중동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의 목적이라고 하는 민주주의 실현이 과연 진심으로 중동을 위한 것인지도 의심스럽다. 결국 미국의 이익을 위해 갈등과 화해를 적절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이익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바로 석유와 군사적 이해관계에서 자신의 우위를 지키는 것이다.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문제도 미국의 지원 내지는 묵인아래 이스라엘이 벌이는 또 다른 테러행위라고 생각한다.

자국의 이익을 위해 세계 각국에서 자행하는 각종 불법적 행위에 세계 여러 나라들의 불편한 심기를 알고 있을 미국이다. 부시 행정부의 득과 실을 고스란히 받은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되고 바로 관타나모 수용소를 폐쇄한다는 발표를 했지만 결국 공화당의 힘에 밀려 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미국 대통령의 실제인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현실이라는 생각에 더 답답함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알고 있었던 일을 확인하고 새롭게 알게 되는 일이 많다. 무엇보다 중동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 할 수 있어 좋았다. 중동의 이야기를 보면서 무엇 하나 미국과 무관할 수 없는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 중동의 첨예한 문제는 곧 우리의 문제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우리의 현대사에서 보여준 미국 본질이 그것이라 생각한다.

사실과 진실을 알지만 테러국, 패권주의 미국의 힘 앞에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면 현명한 우리의 선택은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